갯벌은 자정작용을 어떻게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해안과 서해안에 많은 갯벌이 물을 정화한다고 알고 있는데 이게 사실인가요??
또 어떤 원리로 자정작용을 하는걸까요??
갯벌에 살고있는 많은 생물들이 갯벌의 자정작용을 일으키는 주요 원동력입니다.
갯벌 특유의 생태계가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입니다.
갯벌에 서식하고있는 수많은 미생물과, 게, 갯지렁이, 조개 등이 먹이활동을 하면서 그 과정에서 여러 오염물질들도 함께분해하며 갯벌이 정화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오염물질이 갯벌에 들어오게 되면, 갯벌 가장자리의 식물이 유속을 떨어트려 부유물질이 퇴적됩니다. 그렇게 되면, 남은 오염물질과 진흙은 걸러지고 미생물에 의해 흡수 및 분해됩니다. 감사합니다.
갯벌은 자연적인 수질 정화 시스템으로 작용하여 환경 오염을 줄이고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갯벌의 자정 원리는 갯벌은 바다와 강이 만나는 곳으로 미생물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물에 포함된 유기물들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이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자연스럽게 제거되고 분해됩니다.
- 갯벌의 펄은 점토질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수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가 붙게됩니다.
펄에 붙은 유기물과 영양염류는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의 활동에의해 분해되거나 갯벌 생물의 먹이로 소비됩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며 자정작용을 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갯벌 가장자리에 자라는 식물들은 하천에서 유입되는 각종 유기물을 퇴적시키고, 수많은 미생물이 이를 분해해 수질을 개선합니다.
조개와 같은 생물들도 정화작용을 하는데, 갯벌에 사는 조개들만 해도 매일 5~10리터의 바닷물을 걸러냅니다.
게다가 갯벌은 오염물질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분해시켜 정화하는데, 이는 갯벌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자정능력으로, 염생식물과 저서규조류, 미생물에 의한 홉수와 분해가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갯벌의 자정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느데,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 연구팀은 60일간 마산 봉암갯벌에서 현장 메조코즘 연구를 진행하여, 오염된 퇴적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학적독성학적으로 60일동안 최대 70%까지 회복하였고 이는 특히 미생물들의 활동으로 인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