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누리함
누리함23.05.12

미분양 주택의 정의와, 미분양에 따른 정부 대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악성 미분양이라는 말도 있고요. 그리고 미분양 통계를 집계하는 이유가 있다고 하네요. 한번 미분양이면 그 일대 시세가 회복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입지 등이 좋아도 미분양이 나면 건설사도 위태롭고요. 미분양 물량을 정부가 예의주시 한다는데 어떻게 관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1. 미분양 주택이란?

    건축업자 등이 분양 목적으로 건축을 하였으나 분양되지 않는 주택을 의미합니다.

    2. 정부의 대책은?

    lh 등 공사에서 구입을 하여 임대주택으로 전환될 수 있으나 지금까지 정부에서 매입하고 있는 단계는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이 늘어나는 경우 건설사 자금경색이나 금융권 부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한 부분이 맞습니다만, 실제 뉴스에서 말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사실상 분양물량의 70%만을 분양해도 건설사는 손해를 보지 않는게 대부분입니다. 다만 수익도 없는 상태죠. 나머지 30%를 자금을 투자한 금융사, 건축을 한 시공사, 기타 연관된 관련회사등이챙겨가는 수익금으로 보시게 맞습니다. 현 상황에서 미분양 발생의 문제가 있지만 건설사 부도로 이어질 만큼 수준은 아니라는게 개인적 판단입니다. 이미 서울내 분양권들 미분량은 줄어들고 있구요. 즉 나머지 수익을 위해 정부가 정책적 지원을 하는것에는 부정적인 생각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은 말그대로 건설사가 아파트를 분양하였는데 일부 분양이 되지않은것 입니다. 그만큼 수요가 없다는것을 의미하고 인근 아파트까지 영향이 있습니다. 정부는 아직 특별한 대책은 없으며 건설사들에게 할인분양을 권고하고 있는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