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4.02

준공 후 미분양이 특히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주택 미분양 증가 속도는 줄어들었지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우는 준공 후 미분양이 크게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준공 후 미분양이 특히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미분양의 경우 모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준공후 미분양은 실제 입주가 가능한 상태로 미분양이 생길경우 해당 아파트의 인기가 없는것과 같기에 시세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미분양중에서도 악성미분양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이러한 수치가 늘어난다는 것은 부동산 경기의 침체를 의미하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선분양 후시공인 우리나라에서는...
    건설사는 분양대금을 받아서 공사를 하는데요. 미분양이 나도 준공 시점까지 공사비를 감당하면서 공사를 하게 됩니다.

    대부분 분양 ~ 준공 시점까지 미분양을 무조건 털어내려고 합니다(미분양 세대의 경우 분양가 할인 혜택 등 제공).
    준공 후에도 미분양으로 남아 있는 것은 악성 미분양으로 불립니다.
    건설사는 해당 미분양 주택에 대한 이자 부담이 가중되어서 문제가 되는 거죠.
    아파트 자체적으로 미분양 세대가 너무 많을 경우 아파트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요(아파트관리비를 내는 세대가 적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서정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 미분양에 비해 준공후 미분양 악성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그만큼 자금 부담이 커지고 또 은행권에서도 중도금 대출 회수도 가능 하기 때문 입니다. 공사중 미분양은 입주때 까지 조금씩 팔고 또 팔릴 희망 이라도있지만 입주후 미분양은 당장 자금 압박으로 새로운 현자의 분양도 진행하기가 어러워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건설사들의 가장 큰 고민은 미분양입니다. 지방에서만 뚜렷했던 미분양 공포는 수도권과 서울까지 번졌고 지방에서는 문을 닫는 건설사들이 속출하는 상황입니다. 위기가 지속되면 국내 경제에 치명적 타격이 될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시장이 급격하게 얼어붙으면서 건설업계가 위기입니다. 춘천 레고랜드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가 부동산 위축을 부채질 하고, 주택 가격이 추락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심각했던 건설사의 줄도산 사태가 현실화하는 모습입니다. 미분양으로 건설사의 PF대출일으킨 후 이자를 상환하지 못 해 PF대출로 건설사에 자금을 대준 몇몇 은행도 위기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준공후에도 미분양 상태라는 건 굉장히 위험한 상황입니다.

    자금회수못한 건설사만 무너지는것이 아니라 건설사들에 돈을빌려준 금융권 전부 위험해지게 되는 상황이 되는겁니다.

    나비효과처럼 미분양금액자체가 높지 않더라도 산업전반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정부는 이걸 막기위해 금융사를 통해서 지원을 해주어 미연에 방지를 하려고 하는 것이구요.

    일자리와도 관계가 있기에 도산되는걸 강건너 불구경 하듯이 하면 안됩니다.

    관계없어보이는 일자리에도 영향이 다 미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설사는 건물을 짓느라 이미 돈이 들어갈대로 다 들어갔는데 분양이 안되면 집주인은 돈을 못받으니 건설사에게 공사비를 제때 주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서울 권 10세대 빌라만 해도 4~5억 잡으면 50억 가량인데 그 돈이 들어오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금융이자등의 부담이 있어 문제가 심각해질수 있습니다.

    그렇게 돈이 돌지 않으면 소형건설사는 파산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이 이루어지면 회사내에 현금이 돌지 않게 됩니다.

    회사에게 있어서 현금이 계속 돌아야 하는것은 그 회사만의 문제가 아닌 회사를 지탱하는 하청업체또한 현금을 받지못하고 이와관련된 문제가 계속 진행된다면 그 기업들은 줄 도산 가능성이 높고 이에따라 금융권에서는 부실채권이나 대출해준 돈등이 회수가 불가능해질 리스크를 지게 됩니다.


    만약 작은 금융권의 경우 이러한 미분양이 많다면 그만한 리스크가 커지고 그렇게 되면 가장큰문제는 뱅크런입니다.


    은행들이 도산나게 되고 뱅크런으로 금융기관의 안정성에 위협을 받게되면 줄줄이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미분양이라는것이 계속 되게되면 기업뿐만아니라 국민들의 불필요한 고통을 지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준공후 미분양이 심각한경우 건설사에 타격이 크기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선분양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PF대출을받아 건설사들이 건물을 짓고 분양하여 대출을 상환하여야 하는데

    미분양이 많은경우 상환이 어렵고 부도위험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2

    안녕하세요.

    준공후 미분양률이 증가를 하게 되면 지역의 기존 아파트가격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병행되어 가격하락 요인이 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