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3.13

미분양 되는 아파트가 많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미분양 되는 아파트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부동산 침체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인가요? 아니면 인구 감소로 인한 구조적인 현상인가요? 앞으로의 전망은 어떨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3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의 미분양 물량이 7만 5천여호에 이르고 있고 연말까지 10만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고 있는데, 이것의 가장 큰 요인은 연속적인 금리인상으로 인한 주택 대출금리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대구 등 지역에 따라 다소 공급과잉의 측면도 있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고금리에 따른 과이 이자부담으로 매수심리의 위축으로 청약을 기피하게 되고 청약을 포기하는 등의 사태가 일어나게 된 것입니다.

    미국 연준에서의 금리인상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올해까지는 우리나라 금리도 영향을 받고, 그로 인한 부동산 주택시장의 거래절벽과 수요침체로 가격하락 기조는 당분간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사료됩니다.

    인구 감소로 인한 문제는 아직 몇십년 이후의 일인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태준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이라는 건 결국 분양 계획이 어긋났다는 거고, 중산층의 증가가 아니고서야 미분양 쉽게 풀리진 않을겁니다. 원래 부동산이라는 게 상권이 잡히고 주거단지가 형성되기까지가 오래 걸리는데 인구도 줄어드니...


  •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는 감소하지만 1인가구는 늘어나고, 다주택자도 많아지고 있어 집 부족은 여전한 상황 입니다.

    하지만 대출 금리가 오르고, 부동산 가격이 더 낮아 질거로 기대 하기에 매수 수요가 없어져서 미분양이 늘어 나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금리가 떨어지고, 다양한 부동산 규제가 풀리면 수요는 증가 할거로 예상 되며, 빠르면 올 하반기,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지금보다는 훨신 수요가 증가 할거로 예상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하락에 따른 일시적인 부분으로 보시는게 맞을 듯 보입니다. 현 인구감소가 지속되고 있지만 공급이 많은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사회적 추세로 보기는 어렵고 부동산 수요감소에 따른 수요감소 결과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의 미분양은 인구감소보다는 지난 2~3년간 너무 많이 오르기도 했고 금리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여파로 인한것이 더 큽니다.

    올해 들어서는 하락세가 주춤한 모습이고 급매는 어느정도 소진되는 모습인데 여름 이후의 향방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솔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미분양아파트의 원인은

    1. 금리상승으로 인한 조달비용의 증가

    2. 수요세가 꺽이니 자연스럽게 부동산시장이 하향세를 띄우자 투기수요가 사라짐

    3. 현재 분양하고있는 아파트는 상급지가 아닌 하급지 위주의 신축입니다. 선호도가 떨어집니다.

    4. 건설자재 등의 인상으로 건설단가가 높아졌습니다. 이는 고스란히 분양가에 반영되어있는데 그 돈 주고 분양받느니 기존부동산을 구매하는게 합리적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수언 공인중개사입니다.집값이 잔반적으로 하락하면서 관심이줄고 기존주택과 가격차이가 거의 없어지면서 수요자들이 관망하는 상황입니다.금리인상과 고분양가 논란도 더해져 급속도로 늘어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