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친절한코뿔소268
친절한코뿔소26822.06.27

화가나면 물건을 집어던지는데 어떻게 훈육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친절한 코뿔소입니다

4살아들이 요새 들어 화가나면 물건을 막 집어던져요....

그냥 안돼 그러는거아니야

그런식으로 훈육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것 같아서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지 질문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왜 물건을 집어던지는지 아이의 입장에서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무조건적으로 혼내고 다그치기 보다는

    아이의 정서를 이해하려고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에 대해 너무 민감하게 바라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 나이 발달단계에 흔히 보여지는 행동이며 적절한 훈육이 있다면 자연스레 없어집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질 때 "너가 정말 화가 났구나." 하고 던진 물건은 안보이는 곳으로 치웁니다.

    아이가 좀 진정이 된 후에 다시 그 물건을 가져오며 "던지면 안돼" 하고 알려줍니다.

    아직 언어적 설명이 어려운 연령대이므로 장황한 설명은 효과가 없습니다.

    물건은 던지면 --> 없어진다 --> 진정되면 --> 다시 나타난다

    이것을 익힐 수 있게 해주세요.

    부모님의 일관성 있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물건을 던진다고 같이 화를 내시거나 그냥 그러려니 하시는 것은 둘 다 좋지 않습니다.

    마음은 공감해주시되 행동은 제한해 주시고 이것을 일관성 있게 반복하는 것이 훈육의 메뉴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시도해 보세요. 우선 아이의 입장을 들어보시고 아이에 입장에서 다시한번 생각해 보세요.

    어른들의 입장에서 아이들의 행동을 바라보았을때 버릇이 없게 느껴지는 등의 감정이 들수 있으니 아이 입장에서

    생각해보면서 대화로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4세면 말귀를 알아듣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물건을 집어 던지는 행동을 할 때에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4세 아이의 훈육은 일관성있고 지속성이 중요합ㄴ디ㅏ.

    한두번 말한다고 그 행동이 중단되는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힘들더라도 지속적으로 해주는것이 좋으며

    의미가 없지 않으니 계속적으로 안되는것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건을 집어 던졌을 때 그 즉시 바로 훈육을 하셔야 합니다.

    한 두 번 그러다 말겠지 하고 넘어가면 아이는 던지는 행위를 놀이로 인식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27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물건을 집어던질 때는 아이의 그 행동이 운동적 흥미에서 나온 것인지, 화난 감정의 표출인지, 아니면 또 다른 감정에서 나온 행동인지를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만약 부정적인 감정의 표출로 나온 행동이라면 아이의 마음을 제대로 읽어주고 공감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부적절한 행동은 명확히 제한하고 훈육하되, 부정적인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도 알려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가 물건을 집어던질 때는 아이의 그 행동이 운동적 흥미에서 나온 것인지, 화난 감정의 표출인지, 아니면 또 다른 감정에서 나온 행동인지를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만약 부정적인 감정의 표출로 나온 행동이라면 아이의 마음을 제대로 읽어주고 공감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부적절한 행동은 명확히 제한하고 훈육하되, 부정적인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도 알려줘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아이가 활용할 수 있는 대체물이나 대안활동을 알려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누구보다도 지금 힘든건 아이일 것입니다

    내 말을 못 알아주고 잘못 알아주고 내가 원하는건 되지도 않으니 스트레스가 극에 달할 수도 있는 거지요

    이 시기에 자기 주장이 강해서 분노라는 감정이 생기면서 심하게는 땅바닥을 뒹굴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 다양한 언어를 습득함으로써 울음은 다소 감소하고 말이나 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합니다

    그래서 자신들 말이 다 맞고 엄마 아빠 말은 틀리다고 생각하는 거지요

    아이가 흥분했을 때 혼내거나 잔소리 하는 건 아무 소용 없습니다

    엄마의 설명과 잔소리가 아이 귀에 들어올 리가 없지요

    그러니 아이가 흥분하거나 화를 낼 땐 우선 시간을 줘야 합니다

    ㅇㅇ가 몹시 화가 났구나 라며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는 것만으로도 아이의 감정은 많이 가라 앉을 것입니다

    아이를 꼭 안아주거나 몸을 쓰다듬는 스킨십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