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겁나훈훈한카멜레온
겁나훈훈한카멜레온
1일 전

시인 이육사 적극적 저항/소극적 저항시

이육사의 일제 저항 시에는 적극적 저항, 소극적 저항 시가 모두 있다고 배웠습니다!

대표적인 예시 하나씩만 정확하게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손용준 전문가blue-check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23시간 전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이육사는 남성적이고 지사적인 결연한 어조를 사용하는 싯구를 주로 사용 합니다. 그래서 그는 적극적 저항 시인이라는 말을 듣습니다. 그에 반해 윤동주는 여성이며 소극적 저항 시인이라는 평을 듣습니다. 그는 자기 성찰적이며 고백적인 어조를 사용하는데 이육사를 남성적 성향의 시인으로 부르고, 윤동주를 여성적 성향의 시인으로 불리게 하는 이유 입니다. 대표적인 이육사의 < 광야 > 에서 그러한 점이 잘 나타 났고 윤종주의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에서 그 특징이 잘 드러 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이육사의 적극적 저항시는 '광야'로 이 시는 웅대한 자연과 강한 어조를 통해 일제의 억압에 굴복하지 않는 민족의 기상을 드러냅니다. 특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와 같은 구정레서 강한 저항의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소극적 저항시는 청포도로 이 시는 표면적으로 자연과 기대를 노래하지만 '청포를 입고 찾아온다'는 구절을 통해 민족 해방의 염원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적극적 저항시는 직접적인 항거의 태도를 보이고 소극적 저항시는 희망을 통해 저항의식을 드러낸다는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