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23.05.02

SVB에 이어 퍼스트리퍼블릭까지 미국의 이러한 금융불안 이슈가 어떠한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실리콘밸리은행 사태가 잘 마무리되는가 싶더니 이번 퍼스트리퍼블릭까지 파산하면서 미국의 금융불안 위기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데요.

이러한 금융불안 리스크가 어느정도로 전이되어 향후 어느정도의 금융시장의 파급효과를 가져와 달러와 한국의 외환시장과 금융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줄것이며, 향후 미국의 연준은 정책금리를 어떠한 스탠스로 펼칠지 그 내용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준도 이러한 금융기관들의 도산으로 인하여

    더 이상 강도높은 금리인상은 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그리고 미국의 은행들이 이렇게 도산함에 따라서

    우리나라도 새마을금고 등 pf 대출에 대한 불안함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VB의 파산과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의 파산은 해당 은행들의 '수익성'에서부터 비롯된 문제입니다. 미국의 경우 지난 코로나 시기에 대출 수요가 감소하고 예금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예금의 증가에 따라서 은행들은 수익성을 위해서 대출을 하거나 혹은 다른 투자를 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안전한 채권위주의 투자를 하게 되면서 수익성이 금리인상에 따라서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인상에 따라 예금인출이 증가하게 되자 은행들의 자산이 감소하게 되고 결국에는 수익성의 하락을 견디지 못하고 파산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과저 2008년도의 금융위기가 무리한 대출로 인해서 만들어진 결과물이었다면 이번 금융위기는 너무 안전성을 지향하게 된 은행들의 수익성이 문제가 된 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준은 이러한 위기에 대해서 해당 은행들이 보유한 채권을 담보로 대출을 하는 식으로 유동성을 지원하였으나 해당 은행들의 수익성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미 재무부 또한 국채발행한도에 발이 묶여 유동성이 좋지 않아 미국 지방은행들의 파산은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