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2.11.29

중국에서 제품을 많이 수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중국에서 제품을 많이 수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물건이 싸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중국에서는 왜 물건이 그렇게 싸게 만들수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물품가격(판매가격)은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를 포함한 제조원가에 판매 및 일반 관리비, 영업마진을 더하여 산정되는데, 중국산 물품이 다른 국가의 물품보다 저렴한 이유로는 제조원가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노무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값싼 원료를 써서 재료비가 낮을 수도 있고, 품질관리를 엄격하게 하지 않아서 관리비용이 낮을 수도 있지만, 다른 기타조건들이 유사하다는 전제 하에 노무비 차이가 가장 클 것으로 보입니다.

    노무비에는 인건비, 임금 등이 포함되며, 중국은 세계 1위의 인구수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경제활동 인구가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값싼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중국 정부에서 내수경기 활성화 등의 사유로 평균 임금을 계속 올린다는 목표를 세운 만큼 임금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2021년 통계자료에서도 2020년에만 2019년 대비 평균 7.6% 임금 상승이 있을 정도로 가파르게 상승 중인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이런 추이가 계속되면 노무비를 포함한 원가 상승으로 중국산 물품가격도 점차적으로 오를 것으로 판단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중국이 물품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인구 그리고 저렴한 노동력에 있습니다. 아울러, 특정제품에 대한 정부지원도 있습니다.

    현재는 인구증가율이 감소추세이지만,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입니다. 이에 따라, 인적자원(사람)이 매우 흔하며 이를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최저시급에 따른 월급이 약 180만원이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아직 40만원 수준입니다. 그리고 이조차도 크게 오른 것입니다.

    이에 따라, 사람의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사업(섬유, 공산품 등)에 대하여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하였고 이를 전세계로 수출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국적기업들은 이에 대한 우위를 누리기 위하여 중국에 공장을 짓게 되었고 중국은 현재 전세계의 공장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추가적으로, 중국의 경우 육성하는 사업에 대하여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는 반도체 및 전기차 산업에 대하여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똑같이 1000원의 원가가 발생하더라도 중국은 정부로 부터 일부를 지원받기 때문에 그만큼 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판매할 수 있는 것입니다.

    현재는 중국의 여러 Risk 및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하여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으로 세계의 공장들이 이전 중이며 현재 중국의 노선을 보았을때 이러한 탈중국화는 가속화 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마음에 드시는 경우에는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중국제품의 가격경쟁력은 국가 자체의 보조금정책 등도 있겠지만,

    결국에는 엄청난 인구수를 기반으로 한 중국의 값싼 노동력과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규모의 경제가 갖춰져있기 떄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물가상승에 기인한 물건값 상승이 값싼 중국산 제품(상품)에 대한 수입을 더 늘리기도 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몇달째 좋지 못한 상황입니다.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searchOpenYn=&pageIndex=1&nIndex=69472&logGb=A9400_20220719

    그러나 최근 인도의 인구증가세와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시아 국가(베트남 등)의 등장 등 중국도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위험이 있으며, 결국 가격경쟁력보다 기술력으로 더 앞서나가고자 하는 중국의 노력도 많이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중국이 그 동안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저렴한 임금과 풍부한 노동력입니다.

    중국의 경우 13억이 넘는 인구를 보유한 국가로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노동력이 풍부합니다.

    또한, 지금은 중국의 경우에도 임금이 많이 올라 저임금으로 보기 어렵지만, 예전에는 임금이 많이 낮았습니다.

    이러한 풍부한 노동력과 저임금으로 같은 물품을 만들더라도 다른 국가에 비해 생산 비용이 훨씬 덜 들기 때문에 물건을 싸게 공급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세계의 공장 역할을 수행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모든 국가는 산업화 과정에서 인구가 산업도시로 몰리고, 경제 발전과 함께 주거비 및 생활비가 급등하면서 인건비가 오르는 과정을 겪기 마련인데, 중국은 그 속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느렸는데 이는 중국의 호적 제도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mint/2022/02/10/MI2D4SMJO5CZZFY7MRSHDM7RZQ/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