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5.12

불교에서 목탁을 사용하는 이유가 뭘까요?

절에 가면 예불시간에 불경과 함께

스님이 목탁을 두드리는것을

듣게 됩니다. 리듬을 맞추는것

같기도 한데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목탁은 불교에서 스님들이 예불을 드릴때 꼭 사용하는 법구중 하나입니다.

    절에서 목탁은 일종의 리듬을 주고 신호와 비슷해서 스님과 함께 불자들이 염불을 외거나 절을 드리는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스님들이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는 중생을 구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중생을 구제하는 의미 뿐만 아니라 목탁은 수행 중인 수도승의 맑은 정신을 유지하고자 번뇌와 잡념을 깨뜨리는데 쓰이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목탁은 수도자가 늘 깨어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수행자도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수련을 해야 불도를 취한다는 의미에서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어 아침 저녁으로 치게 했으며, 스님이 독경할 때 물고기를 구제하는 의미와 운율과 박자를 맞추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목탁(木濁)

    절에서 사용하는 법구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또 제일 많이 사용되는 것이 목탁이다.

    위의 목어에서 발전된 둥근 모양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염불, 독경, 예배를 할 때,

    그리고 공양을 하거나 여러 사람을 모을 때에도 쓰며, 어리석음을 깨우친다는 뜻으로 쓰인다.

    옛날 어느 절에 덕 높은 스님이 몇 사람의 제자를 가르치고 있었다.

    한 제자는 어긋난 속된 생활을 일삼다가 그만 몸쓸 병이 들어 죽었다.

    하루는 스승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가는 데 등위에 커다란 나무가 달린 고기가 뱃전에

    머리를 들이대고 눈물을 흘리는 것이었다. 스승이 깊은 선정(禪定)에 잠겨 고기의 전생을 살펴보니

    이는 바로 병들어 일찍 죽은 자기 제자가 생활의 과보로 고통받는 모습이었다.

    이를 알고 가엾은 생각이 들어 수륙 천도제를 베풀어 고기의 몸을 벗게 하여주었다.

    은혜를 감사해 등에 있는 나무를 베어 고기 모양을 만들어 스님 앞에 두고 쳐주기를 부탁하는

    것이었다. 그 소리를 들으면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교훈이 될 것이고 물의 고기들을 해탈할

    인연이 되겠기에...... 이것이 차츰 쓰기에 편리한 목탁으로 변형되었다.

    목탁(木鐸) 목탁은 목어가 변형된 불교의식 법구다. 나무를 파서 물고기의 꼬리 부분을

    둥글넓적스럽게 표현하고, 방울 모양으로 된 고리 같은 손잡이(머리부분)를 제 몸에 달아서

    만든 것이다. 목탁채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데 예불을 올릴 때나 염불.독경할 때 여러 사람들의

    음성을 조절하고 박자를 맞추는 데 사용한다. 또 새벽에 깊은 잠을 깨우는 경종이나 신호하는

    기구로, 식사 때나 울력 혹은 비상소집으로 대중을 크게 모이게 하거나 통솔할 때도 사용한다.

    우리가 둥근 목탁을 손에 들고 치는 것과 달리 중국 등지에서는 물고기 모양으로 된 긴 것을

    받침대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하며 어탁(魚鐸)이라고 부른다. 본래 목탁은 중국 고대 악기인

    탁(鐸)이라는 것의 한 종류다. 구리로 작은 종 모양을 만들고 가운데 줄을 달아서 흔들면 소리가

    나는 것을 금탁이라 하였고 이것을 나무로 파서 만든 것을 목탁이라 하였다.

    상고(上古)시대에 천자가 중대한 정사를 의논하려 할 때나 천하에 새로운 법령을 공포하려

    할 때에 이 탁을 흔들어 천지를 진동하게 하였다. 글과 춤을 즐길 때는 목탁을 흔들어

    문교(文敎)의 진흥함을 보이고, 무술과 춤을 즐길 때는 금탁을 흔들어 무교(武敎)의 진흥함을

    보이는데 사용하면서부터 목탁이라는 명칭이 생기게 된 것이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그 모양과

    용도와 유래가 전혀 다르다. 목어를 원형으로 하는 목탁은 일체중생에게 부처님의 법음을

    일깨워 주고 이고득락(離苦得樂)과 열반해탈을 성취하라는 뜻에서 사용되는 불교의 의식법구다.

    따라서 일반 사회에서는 세상을 바르게 이끄는 사람이나 기관을 가리켜 목탁에 비유하고 있다.

    목탁을 지닐 때는 어산상(경.목탁.요령 등을 놓는 상) 악에 가서 왼손으로 목탁을,

    오른손으로는 채를 집는다. 섰을 때는 목탁 잡은 손을 명치 위에 고정시켜서 목탁을 반듯하게

    들어야 한다. 앉았을 때에도 목탁을 무릎에 대지 않도록 하고, 역시 명치 악에 반듯하게 들어야 한다.

    목탁을 칠 때는 한결같이 고르게 쳐야 한다.

    목탁. 세상을 깨우쳐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조정에서 목탁을 치는 것이 천자의 정치다.(振木鐸於朝, 天子之政也.)」(《예기(禮記)

    〈명당위(明堂位)〉》)

    「명령을 전하는 벼슬아치는 목탁을 가지고 길을 다닌다.

    (遒人以木鐸徇於路.)」(《서경(書經) 〈윤정(胤征)〉》)

    「의현(儀縣) 지방의 봉인(관원)이 공자를 만나 뵙기를 청하면서 말했다.

    “군자가 이곳에 오면 내가 만나 보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공자를 따르는 자가 그를 공자와

    만나도록 해 주었다. 그가 공자를 만나고 나오면서 말했다. “그대들은 어찌 낙심만 하고 있는가.

    천하에 도가 사라진 지 오래되었으니 하늘이 장차 공부자로써 목탁을 삼으려고 하신다.

    ”(儀封人請見曰, 君子之至於斯也, 吾未嘗不得見也. 從者見之. 出曰, 二三子何患於喪乎.

    天下之無道也久矣. 天將以夫子爲木鐸.)」(《논어(論語) 〈팔일(八佾)〉》)

    이상의 전적에서 ‘목탁’이 유래했는데, ‘탁(鐸)’이란 지금의 요령(搖鈴) 같은 것으로,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할 때 흔드는 것이었다.

    요령의 혀가 쇠로 된 것은 금탁(金鐸)이라 하고 나무로 된 것은 목탁이라고 하는데,

    금탁은 무사(武事)에, 목탁은 문사(文事)에 사용되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는 나태한 수행자들을 경책하고, 마음을 다잡아 수행할 것을 독려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목탁의 쓰임새는 차츰 늘어나서 사찰의 여러 가지 일에 대중(大衆: 사찰에 사는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간을 알리는 도구로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http://www.smgnews.co.kr/115268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처럼 목탁을 두드리는 이유는 나태한 수행자들을 경책하고, 마음을 다잡아 수행할 것을 독려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목탁의 쓰임새는 차츰 늘어나서 사찰의 여러 가지 일에 대중(大衆: 사찰에 사는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간을 알리는 도구로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