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이 나쁜 사림이 눈을 특정하게 찡그리면 잘 보이는 이유는?
안경을 쓰는 사람은
그게 근시이든 난시이든
일단 안경 벗으면
시력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눈이 잘 안보이는데요
경우에 따라
당장 안경을 착용할 상황이 안되는데
뭔가 좀 자세히 봐야하면
눈을 특정하게 찡그리면
그나마 잘보이게 되는 걸 경험하게 되는데요
이게 뭐 안과적으로는 안경학 적으로 볼 때
어떤 원리로 이해하면 되나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눈을 찡그려서 시력이 일시적으로 개선되는 현상은 '핀홀 효과(pinhole effect)'라고 불립니다. 이는 광학적 원리에 기반한 현상으로, 눈을 찡그리면 눈꺼풀 사이가 좁아져 일종의 작은 구멍(핀홀)을 만들게 됩니다. 이 작은 구멍은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제한하고, 주변부의 산란광을 차단하여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경로를 좁히는 역할을 합니다. 근시나, 원시, 난시가 있는 경우 빛이 망막에 정확하게 초점을 맺지 못하고 흐트러져 상이 흐려집니다. 그러나 핀홀을 통해 들어오는 빛은 중심부의 상대적으로 더 선명한 광선만 통과시켜 심도(depth of field)를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더 선명한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이는 마치 카메라의 조리개를 조이면 초점 심도가 깊어져 흐릿한 부분이 줄어드는 원리와 유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일시적인 해결책일 뿐이며, 지속적인 눈 찡그림은 두통이나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시력 교정을 위해서는 적절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시력 변화를 확인하고 적절한 처방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야기 하시는 현상은 시력과 관련된 현상이라기 보다는 난시와 같은 문제가 있을 때 상이 망막에 제대로 맺히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는 소견입니다. 즉, 물체를 볼 때 난시와 같은 문제가 있을 때에 상이 제대로 맺히지 않는 것을 눈을 찡그리는 것을 통해 굴절을 조절해주어 상이 잘 맺힐 수 있게 해줄 경우 더 잘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기섭 의사입니다.
핀홀효과라고 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 난시의영행이 줄어들어 사물이 좀더 명확하게 보이는 효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눈을 찡그리면 시력이 좋아지는 이유는 눈의 초점이 맞춰지는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시력이 나쁜 사람, 특히 근시나 난시를 가진 사람은 눈의 초점이 망막에 정확히 맞지 않아서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눈을 찡그리면 눈의 모양과 각도가 조금 바뀌면서 초점이 맞춰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 일시적으로 더 잘 보이게 되는 거에요
이 현상의 원리는 광학적으로 초점이 흐릿해진 상태에서 좁은 구멍을 통해 빛을 통과시키면 빛이 더 집중되거나 좁혀져서 망막에 더 정확히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찡그린 눈은 마치 핀홀 카메라처럼 작고 좁은 구멍을 만들어서, 빛의 산란을 줄이고 더 선명한 이미지를 만들어 시력이 나아지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거죠
따라서, 찡그리는 행동은 눈을 비좁게 해서 빛이 망막에 더 집중하도록 만들어 일시적인 선명함을 주지만, 이 방법은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시력이 개선되려면 정확한 교정이 필요하며,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통해 눈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