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8.28

일반적인 경우 전체 소비 지출이 감소로 인해 총수요가 감소하면 물가도 감소하지않나요?? 하지만, 반대로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어떨때 상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경우 전체 소비 지출이 감소로 인해 총수요가 감소하면 물가도 감소하지않나요?? 하지만, 반대로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어떨때 상승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지출이 감소하면 GDP도 감소하게 되고, GDP가 감소하면 생산자도 생산을 줄이게 되며, 공급이 감소되고, 수요도 감소하게 되므로, 물가가 하락함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비지출이 감소하더라도 생산자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 생산자들은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할 수 있고, 또한,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수입 물가가 상승하여 물가가 하락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경우 소비 지출이 감소하게 되면 물가도 하락하게 되요. 그런데 오히려 반대로 상승하게 되는 것은 소비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유의 공급량을 크게 감소시켜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가격 인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지출이 감소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품목에 대하여 공급이 원할하지 않는 등 한다면

    가격이 상승할 여지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요가 감소하더라도, 공급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되면 물가는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체 소비가 줄은 것 보다 공급쪽에서 더 큰 감소가 일어나게 되면 소비가 감소함에도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스테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산유국들이 원유에 대한 생산량을 급감 시킨다면 유가가 폭등하게 되고, 이것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