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투모로우 재난 영화를 보면 기온이 급속으로 강하하면서 일부 지역이 얼음으로 변하는데, 현실에서도 일어나는 기상재해가 영화와 같이 진행이 될까요?

투모로우 영화는 급속빙하기를 나타내는 재난 영화인데, 현재 뜨거운 나라에서는 급속 한파가 장기간 이어지고 있고 차가운 나라는 뜨거운 기온이 이어지고 있다는데, 환경적인 문제로 보면 이상기후가 영화와 같은 전조증상을 보이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탄소배출에 대한 관심과 통제를 통해서 기후변화를 다시 원상태로 막고

기상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영화에서 나타는 급속 빙하기는 실제로 매우 비현실적으로 보입니다.

    바로 얼어붙는 형태는 아니더라도 수십년에서 수백년 사이에 점차 일어날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보입니다.

    탄소 배출을 저감함으로서 기후변화에 대한 기상재해의 위험을 완화하거나 늦출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현재 기상이변이 심각하긴하나 영화처럼 도시가 단기가 얼어버릴 정도의 기상현상은 나타날 수 없습니다.

    영화를 보면 몇시간만에 도시 전체가 얼고 도시의 인프라가 마비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일반적은 자연현상으로는 나타날 수 없습니다. 몇시간이 아니라 수천년에 걸쳐 빙하기가 오게되면 그렇게 될 수도 있으나 영화처럼 단기간에는 절대 불가능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빙하기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지구의 공전궤도와 자전축 변화가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데 약 10~12만 년 주기로 빙하기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 중 탄소로 인해 지구온난화로 많은 나라들이 기후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가 가속된다면 빙하기가 찾아오게 됩니다.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및 메탄으로 인한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지구 평균 기온이 상승하여 극지방 빙하가 녹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대기중의 온실가스 농도가 불균형해지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지면 지구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는데 이때 빙하기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류 흐름의 변화로 빙하기가 촉진될 수도 있습니다.

    전세계 각국에서는 지구온난화를 막기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 탄소배출을 줄이고 친환경 및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흐름으로 우리나라도 친환경 정책으로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저감하기 위해 탄소제로를 선언하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각국과 정부 그리고 기업과 개개인의 노력이 있어여 탄소배출을 줄여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를 막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극심한 기온 변화와 이상 기상 현상들은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영향과 관련이 깊습니다. 온실가스가 늘어나 지구 평균 온도가 오르면 대기 순환이 바뀌어 특정 지역에서는 폭염이나 가뭄이, 다른 지역에서는 한파, 폭설 등 극한 기상 재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탄소 배출을 통제하는 것은 기후 변화의 속도를 늦추고 미래의 온도 상승 폭을 제한하여, 예상되는 기상 재해의 강도와 빈도를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미 대기 중에 쌓인 온실가스의 영향 때문에, 지금 당장 탄소 배출을 완전히 멈춘다고 해도 이미 시작된 기후 변화를 완전히 되돌리거나 기상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탄소 배출 감축 노력과 함께, 이미 진행 중인 기후 변화에 적응하고 재해에 대비하는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