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이병진
이병진23.02.08

거시경제라는 용어 을 자주 듣는데요?

경제에 대해서 얘기하거나

방송에서 뉴스에 거시경제

빠지지않고 나오는데요

정확한 의미와 뜻을 알고싶습니다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거시경제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거시경제

      가격기능에 의한 개별시장 간의 상대적 자원배분과 그 배분의 효율성이 관심사가 아닌, 전체 경제의 총생산량 변화, 즉 국민소득의 변화가 주 관심사. 따라서 거시경제는 국민소득론이라고도 합니다. 거시경제가 다루는 변수는 국민소득과 연관된 변수들로서 주로 집계변수(aggregate variables)들이며, 이러한 변수로서는 생산량, 국민소득을 중심으로 물가, 실업, 이자율, 국제수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거시경제는 국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의미하는데, 거시경제 정책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증가에 따른 금리인상 (부동산, 소비등 모든 것에 영향)

    •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에 의한 환율변화 (인플레이션, 수입물가, 수출실적 등 전체 영향)

    즉, 거시경제는 해당 정책으로 인해서 국가 혹은 세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들이라고 이해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경제현상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려는 이론체계를 의미합니다. 미시경제에서는 개별 시장, 기업, 자원분배의 효율성 등을 다루는 이론이라면, 거시경제에서는 개별 시장이 아닌 전체 경제의 변화와 현상에 관심을 둡니다.

    쉽게 말해서 미시경제보다 거시경제가 더 큰 단위의 경제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쉽게 보면 전체 경제의 총생산량인 국민소득이 주요 관심입니다. 그래서 다른 말로는 국민소득론이라고도 하는데요. 특히 거시경제는 물가와 실업, 그리고 이자율을 주요 변수로 보고 이 변수 변화에 따라 총생산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연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