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8.03

거시경제라는 용어는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하나요?

경제에 관한 뉴스를 듣다 보면 꼭 한 번씩 거시 경제라는 단어가 나오던데 여기서 말하는 거시 경제는 어떻게 해석을 하는게 좋을까요 의미가 알고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경제에서 나무가 아닌 숲을 본다고 보시면 됩니다.

    GDP, 실업, 인플레이션, 이자율 등의 경제 변수를 연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 나라의 경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를 말합니다.

    거시경제학은 국민소득, 물가, 고용, 이자율, 환율 등과 같은 거시경제 지표를 분석하여 경제의 총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학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우리가 접하는 대부분의 경제는 거시경제 입니다.

    • 반대로 미시경제는 수요공급 그래프와 같은 개념의 일종의 공식을 미시경제의 한파트로 분류합니다.

    • 국가의 GDP나 수출등 우리 경제와 밀접한 부분은 거시경제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경제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부분이 아닌 전체적인 경제의 행동과 성과를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를 말하구요

    국내총생산(GDP), 인플레이션, 실업, 무역수지와 같은 경제의 종합적인 척도에 초점을 맞춥니당~!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모든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한 국가의 전체적인 경제 현상에 대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율, 국제수지 등 실물경제의 전반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국가 또는 지역 전체의 경제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를 말합니다. 이는 국가 전체의 경제적인 총합과 추세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대규모의 경제적인 변수들을 고려하여 경제의 흐름과 상태를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거시경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들을 다루며, 이를 통해 경제의 총 수요와 총 공급, 물가 수준, 실업률 등과 같은 경제 지표들을 분석하고 설명합니다.

    1) 국민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 국가 내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 가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경제 지표로, 국가의 경제 활동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소비: 개인과 가정이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을 나타내는 지표로, 경제적인 성장과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를 분석합니다.

    3) 투자: 기업들이 자산에 대한 투자 활동을 나타내며, 경제 성장과 기업 활동의 변동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4) 정부 지출: 국가와 지방정부가 재정을 사용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정부의 경제적 영향력을 분석합니다.

    5) 금리: 중앙은행의 금융 정책을 나타내는 지표로, 경기 조절과 물가 안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거시경제는 국가의 경제 활동과 성장, 인플레이션과 실업 등과 같은 주요 경제적 지표들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이론과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 기업, 금융 기관 등이 경제의 안정성과 발전을 추구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거시경제는 국가 전체 또는 큰 규모의 경제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경제 분석입니다. 국내 총생산(GDP), 실업률, 소비 등과 같은 대규모 경제 지표를 다루며, 정부 정책 수립, 경기 변동 예측, 금융 시장 동향 파악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