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1

기축통화가 선정되는 기준이 있을까요?

미국 달러, 유럽의 유로, 일본 엔 등이 대표할 수 있는 기축통화 중 일부인데요. 이렇게 기축통화로 선정되는데에 어떠한 기준을 필요로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민준 경제전문가blue-check
    김민준 경제전문가23.02.23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은 국제 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재에 중심이 되는 통화이입니다. 기축통화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 전쟁으로 국가의 존립이 문제시 되지 않아야 합니다. 즉 전쟁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합니다.

    2)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3) 고도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합니다.

    현대사회에서는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이며, 일본 앤화와 유로화는 준기축통화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라는 것은 전세계 교역의 기초가 되고 전 세계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통용되는 통화를 말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충족되는 경우에 기축통화라고 부를 수 있게 됩니다.

    1. 세계의 많은 '다양한 인종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이 사용

    2. 이 통화를 내밀었을 때 어디서든 사용

    3. 해당 통화를 발행하는 국가의 존속성에 대한 믿음과 통화발행 조절기능에 대한 신뢰도

    기축통화라는 것의 핵심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 내더라도 받아주는 화폐이며, 이 화폐가 영원히 소멸하지 않고 남아있는다는 보장이 되어야 하는데, 기축통화의 발행국가가 망하지 않을 정도로 국방력이 튼튼하다는 보장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말씀주셨던 엔화나 유로, 위안화의 경우에는 '준기축통화'라고 부르는데 이 화폐들의 특징은 '한 지역'에 국한되어서 사용되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통용된다는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기에 기축통화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