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왜 여러 국가에 관세를 높이려고 하는걸까요?
아무리 미국이라고 해도 다른 국가와의 무역 없이 살아남기는 힘들 것 같은데요..
왜 이렇게 무리해서 관세를 높이려고 하는거죠?
어떤 자신감일까요?ㅠㅠ 어떤 이유가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여러 국가에 대한 관세 인사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내 제조업과 일자리를 보호하고, 무역 적자를 해소하며,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관세 수입을 통해 감세 정책으로 인한 세수 감소를 보완하려는 의도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관세 인상이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또한, 다른 국가들의 보복 관세로 인해 무역 갈등이 심화될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높이려는 이유는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적자 해소, 그리고 글로벌 경제 주도권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자국 기업을 보호하고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명분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특정 국가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는 기술 패권 경쟁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관세를 통해 중국 기업의 성장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미국은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다른 국가들이 미국 시장을 포기하기 어렵다는 점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세계 경제 대국 인 미국에서 행하는 관세 정책은 미국 내 산업 보호, 관세 부과로 인한 국가 수입 증가의 효과를 기대하지만 또한 얼마 지나지 않아 물가가 상승하고 소비자의 부담이 관세에 의한 증가가 될것이라는 것은 이견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비교하여도 트럼프 2기 정부에서는 경제적인 이점과 정치적인 이득을 더 높게 보고 있는 것으로 생각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미국은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지만,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없이는 자급자족으로 살아남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강하게 밀어붙이는 이유는 국내 제조업 부흥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치적 목표 때문입니다. 트럼프는 높은 관세로 수입품 가격을 올려 미국 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고, ‘미국 우선주의’를 지지하는 유권자들에게 성과를 보여주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이는 첫 임기 때부터 강조했던 보호무역주의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이런 정책에 대한 자신감은 미국의 강력한 내수 시장과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다른 나라들이 결국 미국과 거래를 끊기 어렵다고 보는 겁니다. 또한 에너지 자립도가 높아지고, 첨단 기술 및 군사력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어, 경제적 압박을 감수하더라도 단기적으로 버틸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는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관세정책을 통해 대외무역적자폭을 줄이고 세수를 확보하며, 미국내 투자를 유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는 보조금을 지급하기보다 관세를 부과하면 더욱 더 많은 투자금을 미국으로 끌어올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이며,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이기 때문에 관세정책이 유효하게 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