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 발행도 한다면 현금대신써도 되나요?
한국은행 고위 인사가 은행먼저 스테이블 코인 발행 허용하겠다고 했는데 만약 은행이 만든 디지털 코인을 쓸수 있따면 실제 효용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발행 디지털 코인은 신뢰성이 높아 결제, 송금 수단으로 활용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법정화폐와 동일시할지는 규제, 제도 정비가 필요합니다.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의 경합도 관건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이 직접 스테이블코인을 내놓는다면 현금처럼 쓰일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이 나오는 건 당연합니다. 제도권 금융기관이 발행한다는 점에서 신뢰도는 지금 나와 있는 민간 코인보다 훨씬 높을 겁니다. 다만 실제 생활에서 현금 대체로 자리 잡으려면 결제망 연동이나 규제 정비 같은 조건이 따라줘야 한다고 봅니다. 카드사나 간편결제와 어떤 차별점을 줄 수 있을지도 고민이 될 겁니다. 지금 흐름으로 보면 바로 현금을 완전히 대신한다기보다 디지털화폐 실험 성격이 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들이 스테이블 코인 발행하 하면 현금 대신 써도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현금이라기 보다는 결국 코인입니다.
코인을 현금대신 사용할 날은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가치의 변동성이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이 통화와 연동되어 운영되는 것은 맞으나 현금처럼 사용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듯합니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은 일단 원화가 기축통화나 준기축통화가 아니어서 가치 변동성이 달러나 유로화 보다 클 수 있어서 국내 활용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발행 은행이 충분한 예치금을 기반으로 발행할 경우 각종 수수료, 연회비 등 1차적으로 제한적인 분야에 사용되며 활용범위를 점진적으로 넓힐 것으로 예상되며 해당 스테이블코인이 투자 대상까지 발전하기는 앞서 말씀 드린 국내 사용 제한이라는 한계 때문에 쉽지 않을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은 현금과 1대1로 연동돼 이론적으로 현금 대신 결제나 송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효성은 발행 은행의 신뢰성과 규제, 인프라 구축 수준에 따라 달라지며, 공식 화폐와 동등한 법적 지위를 갖추지 못하면 범용성은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전자결제, 해외송금 등 일부 분야에서는 편의성과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돼 금융 혁신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거래소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을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이라고 봤지만, 은행들이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 수 있게 된다고 하면, 부도나 사기의 위험성이 없을 것이라 보입니다. 그만큼 책임의 소지에서도 보다 명확하기 떄문에 안전성이 높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현금과 같이 사용하려고 한다면 이는 보다 정책적이나 법률적으로 제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의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들이 발행할 스테이블 코인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코인이 아니라 디지털 화폐라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신용카드 개념이라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이 법제화가 명확해지는 경우 디지털 화폐의 역할로 인해 화폐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스테이블 코인은 화폐를 담보로 하기 때문에 화폐의 가치가 떨어진다면 스테이블 코인도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화폐를 대체하지는 못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신용으로 발행하는게 아닙니다 지급준비금을 기초로 하여 발행되는것입니다 이미 미국은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달러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도록 허용하였으며 이에 대해서 발행량만큼 90일이내 만기인 달러자산을 갖고 있으면됩니다.
다만 한국은 정부에서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즉 은행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사업에 적극적으로 하겠다는 표현이며 아직은 가이드라인이 없어서 함부로 발행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미국처럼 가이드라인이 나온다면 스테이블코인이 실물결제 인프라랑 연동될것으로 보이며 이미 지금도 달러대용으로 활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실물결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