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질문할려고 하는데, 자문을 구하고 싶습니다
외국인 친구가 이런 식으로 물어봤는데.. 저도 이유를 몰라서 대답해주고 싶은데 알려줄 수가 없어서요
예를 들면 이름이 원희라고 했을때 그 친구가 저 글자를 보면
원 이라는 글자를 읽을때 = u eo n 이렇게 한국어를 읽는다고 했는데 어째서 글자를 적을때는 Wonhee가 되는지 가르쳐달라고 하더라구요 혹시 이유를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친구가 자음 모음 Consonant/ Vowel로 분석을 일단 시도한 뒤 우 + 어 + ㄴ , 그 다음 실제 말하는것의 예로 물어본 것이겠습니다.. Wonhee는 실제발음을 영어와 비슷한 발음의 wording을 차용하여 표기한 것이지요...
또한, 이와 같이 반드시 외래어 표기에 있어 정확한 한글의 음소원리가 적용되지는 않게되있습니다..
: 대표적인 것이 부산광역시의 부산은 Pusan으로 오랫동안 쓰이다가 Busan으로 개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부산의 ㅂ은 무성음 voiceless이기 때문에, Pusan이 사실은 더 과학적으로는 정확한 표기이나, 사람들의 실제발음에 대한 용례를 더 중시하여 Busan으로 개정이 된것이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단어와 발음이 1:1 연결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매우 최근에 만들어 졌고 심지어 전후에 한번 정리가 된 한국어 마저도
담임 [다밈] 각막염[강망념] 처럼 발음이 헷갈리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심지어 영어는 꽤 고대 부터 있었으며 몇차례 지배세력이 바뀌었기 때문에
발음법 쪽은 매우 난장판 입니다
영어권에서도 이걸 잘 알아서 [GHOTI]라는 밈이 1800년대 부터 있었죠
저 단어는 언뜻 보면 [고티] 정도로 읽힐 듯 하지만
여러 단어의 읽는법을 활용하면 [피쉬fɪʃ]로 읽을 수 있습니다
gh: tough[tʌf]의 [f]
o: women[wɪmɪn]의 [ɪ]
ti: nation[neɪʃən]의 [ʃ]
이렇기 때문에 소리나는 대로 적은 u eo n 이 아니라 Won 이라는 흔히 쓰이는 단어와 같은 스펠링으로 적어야
영어권 사람들이 잘 읽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걸 영어로 설명하기 힘들다면 그냥 이 영상 보여주면서 영어가 이상해서라고 설명하셔도 통할겁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우선, 질문 주신 물음에 대하여 세 가지 정도로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첫 번째로, 사람 이름에 쓰는 알파벳은 반드시 발음 나는 대로 쓸 필요 없이, 본인 마음대로 정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성이 '안'이라고 할 때 An 이라고 쓰면 영어 관사인 'an'과 혼동 될 수 있고 발음도 안, 언, 앤 등으로 날 가능 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Ahn 정도로 쓸 수 있겠습니다. 비슷하게도, '노'를 No라고 쓰게 되면, 부정의 의미가 강하므로, Noh, Roh 등으로 응용할 수 있겠습니다.
두 번째로, 원어민의 발음 습관과 관습입니다. 우리말 'ㅢ'를 영어로 표기 한다고 하면 우리는 흔히 'eu', 'ui' 등으로 표기 할 수 있겠으나, 원어민 화자 입장에서는 낯선 스펠링의 조합입니다. 따라서 그들에게 익숙한 발은 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령 김연아 선수는 본인의 영어 이름을 한국식으로 'Kim youn a'가 아닌 "Kim Yu-Na'로 표기합니다. 우리말 '연아'에서 연의 'ㄴ'발음이 뒤의 '아'로 옮겨가, '나'로 발음 되면 외국인 입장에서도 발음하기 쉽고, 표기상 직관적으로 그들에게 더욱 발음이 용이해 지기때문입니다. 비슷한 예로, 한때,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Hyundai like Sunday'캠페인을 벌인 적이 있습니다. 그들이 현대를 발음 할 때, '횬다이'정도로 발음 하기때문에 '현대(이)'와 발음이 비슷한 '선데이'를 가져와 캠페인을 벌인 것입니다(선데이-->현대[이]).
마지막으로 알페벳과 한글의 철자의 차이점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우리말에서는 이중모음을 만드는 경우 기존의 모음을 조합하여 만듭니다. 가령, 'ㅜ'와 'ㅓ'를 합하여 'ㅝ'가 되는 것처럼 말이죠. 영어도 마찬가지도 모음 두 개를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reak'에서 'e'와 'a'가 붙어, 에이(ei)발음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알파벳에는 그것 말고 'y'와 'w'와 같은 반모음이 존재하는데, 이는 각각 'yes'에서 처럼 '이에-->예' 발음을, 혹은 'water' 에서 처럼 '우어-->ㅝ' 처럼 이중모음을 만들기 위해 이용됩니다. 따라서 외국인들에게는 반모음을 이용하여 이중모음을 만느듣 것이 익숙합니다.
결론적으로 '원희'를 'wonhee'로 적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영어 이름에 있어 이름 붙이는 사람의 자유', 원어민의 발음 습관과 관습' 그리고 '반모음을 이용한 이중모음 조합의 가능' 때문이라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이 부분은 우리말의 영어식 발음과 로마자 표기법은 목적과 기준이 달라 생기는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영어식 발음은 외국인 특히 영어권 사람들이 한국어 발음을 영어식으로 쉽게 이해하고 따라 하기 위해 실제 소리를 영어 발음 체계에 맞춰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로마자 표기법은 정부가 정한 공식 표기법으로 한국어의 철자를 기준으로 로마자로 옮기며 철자의 원형보존에 중점을 둡니다. 이 때문에 영어식 발음은 실제 발음에 가깝지만 철자와 어긋나고 로마자 표기법은 철자와 일치하지만 발음과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