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종합소득세 이미지
종합소득세세금·세무
종합소득세 이미지
종합소득세세금·세무
잘웃는비단벌레130
잘웃는비단벌레13021.04.07

부가세 신고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부가세 신고 업무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요 !

회사에서 해보려고 하는데 대략적인 틀이 궁금해요

세무쪽에 지식이 부족해서 어떤 공부를 하면 좋을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ㅎㅎㅎㅎㅎ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부가가치세 신고는 홈택스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처음이시면 모든 것이 낯설고 어렵습니다. 텍스트로 설명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유튜브에 부가세 신고 등으로 검색하시면 동영상 자료가 많이 나오니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세무는 실무를 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이론공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회계사/세무사 전문 학원의 세법강의를 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부가세 신고서를 잘보시면 위쪽 매출세액부터 매입세액 그리고 세액공제 순으로 진행하시면 편합니다.

    업종마다 하는 방법은 다릅니다.

    일단 세금계산서,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기타현금 매출자료를 확인하여 확정짓습니다.

    그리고 위의 적격증빙을 수취한 매입자료를 정리합니다.

    이후 해당 자료 중 부가세법에 따라 불공제하여야 할 항목을 걸러냅니다.

    그밖의 의제매입세액이나 대손, 등이 있다면 확인하셔야 합니다.

    신용카드매출이 있다면 업종확인하여 신용카드발행세액공제, 전자신고 세액공제 적용하여 마감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마승우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는 기본적으로 수령한 세금계산서와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취합하여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가하는 구조입니다. 이 때 신용카드매출전표와 현금영수증 자료도 꼼꼼이 봐야하며, 신고서 작성 후 홈택스에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민기 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합법적으로 세금을 면제받는 면세사업자 외에 전국의 모든 사업자는 부가세 신고를 빠트리지 않아야 해요. 사업자는 크게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로 나뉘는데요. 부가세를 납부할 때 개인사업자는 일반 과세와 간이과세로 나누는 한편, 법인사업자는 특별히 구분하지 않아요.


    1년에 한차례 신고 및 납부를 하는 종합소득세와는 달리, 부가세는 한 해 동안 최대 4번까지 신고를 진행합니다. 과세기간은 1기와 2기로 나뉘며 각각 예정신고와 확정신고로 세분화된답니다.


    우선 가장 많이 부가세 신고 의무를 가진 사업자는 법인사업자인데요. 개인사업자는 그 절반인 2번이며 간이과세사업자는 더 적은 1번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정동호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세금계산서, 계산서, 카드전표, 현금영수증을 반영하며, 세금계산서 합계표, 신용카드매출전표발행금액집계표 등 부속서식과 신고서

    서식을 작성해서 신고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는 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에 따라 그 계산 구조가 다르고, 업종 등에 따라 제출해야 되는 서류들이 제각각 다른데다 개인사업자이냐 법인사업자이냐에 따라 신고기한도 다른 것이므로 해당 사실관계부터 자세히 설명해주셔야 답변이 가능합니다.

    일반과세를 예로 들면 매출과정에서 발생한 매출세액에 매입 과정에서 발생한 매입세액을 차감해 그 차이만큼 환급받으시거나 납부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