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DUWKWHWEKGUS
DUWKWHWEKGUS23.11.09

조개는 왜 진주를 만들어 내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진주가 조개에서 만들어 진다는것은 유명한 사실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조개는 왜 진주를 만들어내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조개는 외부에서 들어온 자극, 예를 들어 모래알이나 기생충 등을 뱉어내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자극이 너무 작거나, 조개의 몸에 깊숙이 들어온 경우, 뱉어내지 못하고 그 자리에 남게 됩니다. 조개는 이 자극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침을 분비하여 자극물을 둘러싸기 시작합니다. 침에는 탄산칼슘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탄산칼슘이 자극물 주위에 쌓이면서 진주가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조개의 외투막과 껍데기 사이에 불순물이 들어오면 진주층을 만드는 외투막의 가장자리 세포가 불순물에 붙게 됩니다. 이때 세포는 마치 누에고치처럼 불순물을 둘러싸는데, 불순물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일 정도면 핵을 완전히 둘러싼 모습으로 바뀝니다.

    그 모습이 마치 주머니에 싸인 것 같다고 해서 '핵주머니'라고 부릅니다. 이 핵주머니에서 탄산칼슘과 콘키올린이라는 단백질이 포함된 분비물이 나와 핵을 감싸면서 조개껍데기를 만들 듯이 불순물 표면에 진주층을 덧씌워 갑니다.

    이때 배출되는 탄산칼슘에는 아라고나이트와 방해석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라고나이트는 광택이 나게 하고, 방해석은 조개껍질 같은 석회석 결정 구조를 만듭니다.

    진주 특유의 은은한 광택은 아라고나이트의 결정과 그 사이를 메우는 콘키올린이라는 물질이 얇은 층으로 여러 겹 쌓이면서 만들어집니다. 빛이 겹치는 구조를 통과할 때 간섭 작용이 일어나 진주 특유의 빛깔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콘키올린의 색이 진주의 색을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