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단아한안경곰
단아한안경곰23.03.16

아이가 화가나면 자기얼굴을 때려요

30개월아기를 키우고있는데요 동생이10개월인데 같이 놀다가 자기마음대로 안되면 자기얼굴을 때리면서 소리를 질러요 안그랬는데 요즘따라 그러네요 문제가 있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자기표현이나 언어가 잘 안되기 때문에 부정적인 행동을 먼저 보일 수 잇습니다. 부모님게서 아이의 화난 마음은 읽어 주시되 부정적인 표현은 안된다고 알려주셔야 됩니다.계속 반복적으로 알려주시면 아이가 화가 났을때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얼굴을 때린다 라는 것은 이것 또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하는 행동 인데요,

    아이에 욕구 불만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아이의 욕구불만이 해소 시켜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는 화가 나는 자신의 감정을 어떻게 주체하지 몰라 자신도 모르게 자기 몸을 때리고 벽이나 머리를 부딪히는 모습을 보이곤 하는데요.

    이러한 행동을 할 경우 아이에게 이러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부드러운 말투로 단호하게 말하여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자신의 얼굴을 때리려고 한다면 그 즉시 제제 하시고 다른 행동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다른 방법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또한 아이의 입장에서 최대한 공감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두아이 육아 하시느라고 여러가지로 힘드시겠어요. 첫아이는 동생이 태어나면서 엄마의 사랑을

    빼앗긴 허탈함과 복합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을 얼굴에 나타내는듯 합니다.

    첫아이를 많이 안아주고 사랑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뜻데로 되지 않을 때 화가 나고 흥분할 때 자기 머리를 때리거나 벽에 머리를 찧는 자해하는 아이들이 간혹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면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표현을 할 수 있으니 자해 행동은 조금씩 줄어들 겁니다.

    아이의 행동에 크게 동요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 줘야 합니다.

    그렇치 않으면 아이는 자신의 자해 행동을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 자신의 화를 주체를 하지 못하고

    자신을 때림으로써 표현을 하는 것 같습니다.

    이를 하지 못하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하셔야 하며

    일단은 호명반응이나 눈마주침이 된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문제행동이 예상되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아이의 속마음을 말로 표현하도록 유도해주세요

    팔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가볍게 안고 속상하거나 화가나는 일이 있는지 물어봐주시고 말로 표현했을 때 꼭 충분히 공감해주시고 보상과 칭찬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동생이 있을때 발현되는 증상중 하나로 아이가 나 자신도 소중하고 귀한 존재임을 알려주시고 스스로 아프게 하지않고 화를 푸는다른 방법을 알려주시는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얼굴을 때릴때마다 놀라지 마시고

    " 지은아~! 지은이

    아~ !

    이뻐! 해주세요~!"

    라고 말해주세요..

    그러면서 아가의 두손을 잡고 아가의 얼굴을 쓰다듬으며 지은이 아이뻐 라고 말해주세요 아이도 스스로에게 아이뻐 하며자신도 사랑받고 있고 귀한 사람이 구나 느끼며 스스로를 아끼고 사랑하게 된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잘해소하지 못하면 위처럼 때리거나 하는행동을 보일수있습니다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법을 알려주거나

    같이 놀이를 통해서 해소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이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아이에게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