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월요일 아침에 학교가기 싫어서 짜증을 냅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초등학교 아이들입니다. 월요일 아침만 되면 짜증이 심해지네요. 물론 쉬다가 가려면 싫을수도 있겠지만, 학교에서 적응을 잘 못하고 있는건 아닌가 걱정이 되네요~
학교 현장에서 교실에서 제자들과 이야기하다보면 아이들도 직장에 다니는 어른들과 똑같은 생각을 한답니다. 월, 화, 수, 목, 금, 토, 일 5일 동안 학교에 다니다 주말에 쉬고 다시 학교에 나가려고 할 때 계속적으로 쉬고 싶고, 놀고 싶은 마음이 더욱 크다고 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이런 친구들이 막상 학교에 등교하게 되면 어느 누구보다도 열정적으로 공부를 하고 쉬는 시간에 친구들과 정말 즐겁게 놉니다.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른들과 동일하게 달콤한 주말을 보냈을 겁니다. 따라서 월요일이 오면 또 학교를 가야 된다는것이 싫을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는 아이들이 해야 되는것이고 루틴은 바꿀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학교를 가면서 즐거워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월요일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힘든날 입니다
전날 잠을 못자 힘들수 있고 학교 수업이 재미가 없어 일수도 있습니다
표현의 차이이지 대부분에 초등학교 아이들은 월요일을 힘들어 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위로가 필요 하겠군요
힘든지 알지만 학교에 가야 하는 이유을 이해 시켜줘야 합니다.
아이가 학교에 가기 싫다고 짜증을 내는데에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우선은 아이와 대화로 풀어나가는 것이 먼저 입니다.
아이의 기분을 살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왜 학교에 가길 싫어하는지 그 이유를 먼저 알아내는 것이 급선무 입니다.
아이가 학교에 가길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말을 한다면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경청해 주고,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주세요. 아이의 이야기가 끝나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 준 후에 학교에 왜 가야하는지 그 이유를 부드럽게 설명해 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통해서 아이의 교우관계, 학습태도, 학교적응 문제를 상담해 보시고, 선생님과 상담을 주기적으로 하면서 아이가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주말이라고 늦잠자서 패턴이 바껴버리면 월요일날 힘듭니다.
평일, 주말 똑같이 수면 패턴을 맞춰주세요.
항상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들여놓으면
아침에 일어나기도 편하고,
짜증이 덜 할 수 있습니다.
월요일이라 짜증이 날 수 있지만,
학교 가면 또 다 잊고 잘 지낼 겁니다.
초등학생 아이들은 많은 이유로 학교에 가기 싫어합니다. 특히 월요일은 저희 아이도 학교를 가기 싫어하는데요. 무조건 그래도 가야지~ 라고 이야기 하는 것 보다. '맞아, 주말에 신나게 놀다가 학교가려는 힘들지? 그럴 수 있어. 엄마 아빠도 주말에 쉬다가 월요일에 회사에 가거나 일하기 너무 싫더라. 그래도 우리 한번 기분좋게 할일을 시작해 볼까~?'"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아이의 심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또 아이가 왜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주변 친구들에게 물어봐도 좋고 담임 선생님께 물어봐도 좋습니다. 아이와 이야기를 많이 한다면 아이에게 물어봐도 좋습니다.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는건 아닌지 세심한 관심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