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월된 아기를 육아중입니다 말을 할 시기가 지났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지금 15개월된 아기를 육아중입니다 말을 할 시기가 지났다고 하는데
아직 명확한 엄마 아빠를 하지도 않고 맘맘마, 빠빠빠정도만 하는데
그냥 기다리면 언젠가 말을할까요 아니면 검사라도 받아봐야 할가요?
아이들마다 개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후 24개월까지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면 정상 발달이라고 볼 수 있으며, 30개월까지도 말할 수 있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늦어진다면 언어 지연을 의심해볼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생후 10~11개월경에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하게 됩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합니다.이 시기는 전 언어단계와 언어단계의 과도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 18개월까지 두 단어를 결합해서 말한다고 합니다 .
하지만 아이들의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꾸준히 언어적 자극(책읽어주기, 아이와 대화하기)을 주고 격려하며 기다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동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능, 신체적 요인, 사회·정서적 요인, 성별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
- 가정의 사회 경제적 위치, 가정의 문화, 형제·자매의 유무 등과 같은 가정 환경적 요인,
- 교사, 학급의 크기, 교수 학습 방법 등과 같은 교육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15개월 아이가 말을 하지 못하는것은 크게 문제가 되는게 아니라고 보입니다.
빠빠, 엄마, 아빠 정도만 하고 말귀를 알아듣는다면 걱정 안하셔도 되겠습니다 아이마다 말을 하는 시기가 다 다르기 때문에 진듯하게 지켜주시고, 24개월 정도가 되었는데도 말을 하지 못한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세요
아이들은 10개월 무렵이 지나면서 2개~3개의 단어를 말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12개월 돌이 지나면서 아이가 사용할 수 있는 단어의 숫자가 늘어나고 언어 능력이 급격하게 발달이 됩니다.
아기들마다 언어능력의 발달 속도가 다르기때문에 또래 15개월 친구들에 비해 아직 조금 느린감이 있지만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대화를 많이 시도해주시고
책도 많이 읽어주셔서 한글에 노출되는 절대적 시간을 확보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언어는 아이에따라서다를수있으며
본격적언어발달은 24개월이후로 보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호명반응이나 이야기를 듣고 아는데 큰문제가 없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이 시기에 말을 잘 못한다면 언어자극이 많이 늦은경우입니다. 아이를 무릎에 앉히시고 의성어 의태어가 많이 표현된 동화책 읽혀주기를 매일 해주세요. 또한 아기가 말을 못알아 듣는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명확한 발음으로 이야기를 많이 해주시는것이 언어발달에 도움됩니다.
또한 갖가지 사물 그림카드를 바닥에 펼쳐주시고 아이가 갖고오는 카드의 이름을 반복해서 알려 주세요~ 2개월정도 노력후에도 전과같이 발음이 좋지못하고 단어인지가 되지않는다면 검사및 언어치료가 필요할수 있습니다.
아이가 15개월 이라면 엄마.아빠. 까까, 맘마 라는 두 단어를 말은 해야하고 세단어를 말을 해야 합니다.
물론 아이가 말하는 시기는 개인차가 있지만 아이의 언어가 지연되는 이유는 말이 트이는 시기에 적절한 언어자극이 들어가지 않아서 입니다.
아이의 언어자극 방법으로는 책을 많이 읽어주는 것,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질문도 해주면서 아이가 답변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의 언어가 지연이 된다면 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마다 성장의 개인차가 있는데요.
15개월이면 말이 좀 늦긴 하지만
말이 늦게 트이는 아이들도 많이 있거든요.
부모님이 아이와 대화할때 정확한 단어를 사용하는지요.
잘하고 계신다면 조금더 지켜보는 것이 좋을거 같아요.
아이가 집중은 잘하는지, 의사표현은 하는지 관심있게 잘 지켜보시고
아이에게 책도 많이 읽어주고, 동요도 틀어주면 말트이는데 도움이 돼요.
성장하면서 조금씩 좋아지기는 하나 부모님 판단에 아니고 생각이 들면
전문가 상담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꼭 관심있게 보셔서 판단하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