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97년생박사
97년생박사
22.10.24

PBR과 PER은 어떻게 계산되는건가요?

기업의 매출액,영업이익,총자산 또 다른 어떤 것을 알아야 PBR 과 PER 을 알아낼 수 있는건가요?? 따로 이것들을 계산할 수 있는 계산식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로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주가의 수익성 지표이기 때문에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알아야 합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것으로 주가와 주당순자산가치를

    알아야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항목들에 추가적으로 주가만 정확하다면 이를 통하여도 PBR, PER을 알수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주가수익비율 / PBR(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

    다만 거대한 기업의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매년 그리고 매분기마다 회계사들이 기업을 감사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PBR은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을 말합니다

    • PER은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은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위의 계산식을 통해서 산출하시면 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BR(Price Book Value Ratio)은 주당순자산 가치이며 '주가/주당 순자산 가치'로 구합니다. 수치가 1 이하면 저평가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주가수익비율로 해당 회사의 주가가 주당 수익 대비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위 두 지표는 산업과 사업 내 경쟁 회사들과 비교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er는 주가수익비율입니다. 현재주가에 당기순이익을 나눈값이며 pbr는 현재주가에 주당순자산을 나눈값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합니다.

  •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도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PBR = 주가 ÷ 주당순자산 = 시가총액 ÷ 순자산

    PER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도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재무제표에서는 주당순자산과 주당순이익 대신 순자산과 당기순이익이 표시되기 때문에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실무에 더 많이 활용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0.2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BPS(Book-value Per Share,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순자산 1원은 시장에서 몇 원인가를 의미합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같은 1원의 자본으로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할 기업의 주가가 더 높아질 것입니다.

    주식 PBR을 계산할 때, 특히 BPS (주당 순자산가치)계산 관점에서, 다음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한 기업이 여러 종류의 주식을 상장한 경우 주가는 각 종류마다 다릅니다. 이런 경우 각 주식의 시장가격에 종류에 따른 장부가액을 어떻게 배분할지 명확히 해야 합니다.

    Price Earnings ratio를 활용해 비상장기업 주식가치평가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상장된 비교기업의 PE Ratio와 대상기업의 EPS를 곱하면 주식가치가 산출됩니다. 이 논리는 다른 지역의 아파트 평당 가격으로 우리 아파트의 가치를 산출하는 논리와 같습니다. 다른 기업의 이익당 주가로 대상기업의 주식가치를 추정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