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무릎에 연골연화증이 있다고합니다
오른쪽 무릎에 연골연화증이 있다는걸 안지는 오래되어 약물치료를 간간히 받고있습니다.
요즘들어서는 가끔씩 왼쪽무릎이 힘이빠지는지 툭하고 풀리면서 주저앉는듯합니다 오른쪽 무릎 아픈것이 왼쪽무릎으로 옮겨간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연골연화증은 한쪽에만 생기는 것 보다는 양쪽 무릎에 모두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다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연골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연골과 함께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계단이나 산을 오르거나 헬스를 통해 무릎 관련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연골연화증은 다리에서 다리로 전염되는 종류의 질병이 아닙니다.
왼쪽 무릎에 대해서도 별개의 진료가 필요해 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보통 한쪽 무릎에 통증이나 병변이 있는 환자는 반대쪽을 주로 사용하게 되므로 반대쪽무릎에도 통증을 호소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지속시 영상검사 권유드립니다.
연골연화증은 전염성 질환이 아닌 만큼 몸의 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옮겨가거나 하지 않습니다. 우측에 연골연화증이 발생한 동일한 원인에 의해서 좌측에도 발생하였을 가능성은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연골연화증의 약물치료가 반대편 무릎의 증상을 일부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증상이 반대편에도 동반되었는지 확인을 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연골연화증은 관절 내 연골 조직이 약해지거나 손상된 것 입니다. 관절 연골은 관절 내 골단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뼈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을 하고, 뼈가 마찰 없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관절 연골이 약해지는 부분이 점점 늘어나면 연골이 벗겨질수 있고 심한 경우 파괴된 연골이 완전히 마모되어서 슬개골 뒷면의 뼈가 노출 될수 있습니다. 좌측 무릎의 증상은 오른쪽에서 옮겨온 것이 아니라 좌측 역시 연골연화증이 있어서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일수 있습니다. 좌측 무릎도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왼쪾무릎으로 옮겨갈수가 없습니다.
왼쪽 무릎은 왼쪽 자체대로 안좋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연골연화증의 주 증상은 무릎뼈 뒤쪽면의 통증입니다. 힘이 빠진다거나 주저앉는것 같은 증상은 재활의학과나 정형외과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연골연화증이 옮겨다니는 병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