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은 왜 만지면 차갑게 느껴지는 건가요?
금속으로 만들어진 물건을 만졌을 때 유난히 차갑게 느껴지는데 실제로 금속이 주변의 온도보다 더 낮은건가요? 온도가 같은 공간에 있는데 나무나 플라스틱 같은 물건에 비해 금속은 왜 더 차가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금속은 나무나 플라스틱에 비해 열전도율이 매우 높습니다.
하여 금속에 피부를 접촉시키면 피부의 열을 금속으로 빠르게 전달되어 피부가차갑게 되고 이로인해 금속이 차가운 것처럼 느끼는 겁니다. 그리고 금속은 비열이 작아 금속 자체의 온도를 올리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하여 피부의 열을 빼앗은 만큼 금속의 온도가 올라가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금속소재의 경우 보통은 열전도도가 뛰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열을 잘 방출하게 되죠. 이 때 손의 열을 빠르게 빼앗아가기 때문에 차갑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주변의 물건과 온도는 똑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열 전도율이 높아서 그렇습니다. 사실 상온과 온도가 같은데, 손을 닿는순간 손의 체온을 빠르게 뺃어가는거죠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금속의 열전도율 때문입니다.
실제로 금속의 온도가 더 낮지 않습니다. 같은 상온에 있다면 실제로 상온의 온도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전도율이 높다는건 금속 내부의 자유전자가 항상 이동하고 있는데 이것이 열을 빠르게 분산시켜서 상대적으로 차갑게 느껴지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금속은 열전도율이 매우 높아, 피부의 열을 빠르게 빼앗아 가기 때문에 차갑게 느껴집니다,
실제로는 금속의 온도는 주변 물체들과 같지만 열을 전달하는 속도 차이 때문에 체감이 다릅니다.
반면 나무나 플라스틱은 단열성이 좋아 열 이동이 느려 덜 차갑게 느껴지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일단은 금속은 표면에서 열을 빼앗아가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열을 빨리 빼앗겨 그롤수도 있고요 또 금속은 전기전도도가 높기때문에 열이 빨리 흡수되어서 구럴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금속이 더 차갑게 느껴지는 이유는 실제 온도가 더 낮아서가 아니라 금속이 열전도율이 매우 높아 우리 몸의 열을 빠르게 빼앗아가기 때문입니다 같은 온도의 나무나 플라스틱은 열을 천천히 전달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차갑게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