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11.28

미술 분야에서 추상표현주의 장르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추상표현주의라는 것은 1940년 말~1960년에 전개된 미술이라고 하던데

추상표현주의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

해당 장르에 해당하는 작품들은

다른 작품들과 비교했을 때

어떤 독특한 특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추상표현주의에 해당하는 작품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일어난 추상회화의 경향을 말하며 형식은 추상이나 내용은 표현주의적 이라는 의미입니다.

    추상표현주의라는 용어가 미국 미술계에 적용된 것은 1946년으로 미술 평론가 로버트 코츠가 뉴요커 지에 호프만의 작품을 설명하면서 부터이며 이후 추상표현주의는 잭슨폴록, 마크 로스코, 윌렘 드 쿠닝 등의 즉흥적이고 표현적이며 감정적인 새로운 형태의 추상미술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추상표현주의 작품은 작가의 움직임이나 터치 등의 제스처를 그대로 화면에 옮긴 듯한 붓터치나 물감의 흔적을 보여주며 이런 자필적 제스퍼는 작가의 정신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 종종 바넷 뉴면의 zip 작품에서 볼 수있는 수직선과 같이 작가별로 특징적인 시그니처 스타일의 형성으로 이어졌습니다.

    추상표현주의 작품은 주로 평면적이고 비구상적이며, 어떤 중심적 구도나 방향성이 설정되지 않고 전체가 균일하게 표현 즉, 주나 부의 관계없이 다시점 혹은 무시점이며 화면 전체가 동일한 방법 및 강도로 그려지고 화폭의 테두리까지 가득 채우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작가로는 잭슨폴록, 빌렘 데 쿠닝, 프란츠 클라인, 마크 로스코, 모리스 루이스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