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10.21

중국이나 일본은 왜 숟가락을 잘 사용하지 않나요?

한중일의 문화 특징중 숟가락은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데요.

그런데 중국이나 일본은 이 숟가락을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은 15세기, 일본은 12세기 부터 숟가락이 없어졌다고합니다. 중국은 화북지역에서 밀농사가 시작되고 국수와 만두가 발달한 이후부터이며 일본은 자포니카(자포니카쌀은 전분 중 아미로스라는 성분이 인디카에 비해 낮기 때문에 더 찰지고 윤기가 더 난다는 특징이있습니다) 쌀을 먹게 되면서부터, 그리고 일본은 그릇을 들고 먹는 것이 예절이 되었기에 숟가락 사용이 없어졌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숟가락 사용이 줄어든 것은 과거 중국 화북지역 한나라 시기 새로운 곡물인 밀을 받아들여 먹기 시작했고, 처음 수제비를 만들어 숟가락으로 떠먹었는데, 원나라 때 국수를 먹기 시작하며 젓가락 사용이 늘고 숟가락 사용이 줄었다고 하며, 주로 제사나 차를 먹을 때나 사용했을 때 보통 젓가락을 사용해 밥을 먹었다고 합니다. 명나라 이후 아예 숟가락은 점차 사용이 사라지는데 중국 음식이 뜨거운 기름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이를 먹기 위해서는 젓가락이 유리했기 때문에 젓가락 중심의 음식 문화가 자리잡게 됩니다.

    일본의 경우 헤이안 시대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후 거의 발견되지 않는데 일본은 뜨거운 도자기 그릇이 없고 주로 나무 그릇으로 식사, 나무는 도자기보다 열 전도율이 낮아 들고 먹을 수 있으니 국을 떠먹거나 하는 일이 어렵지 않아 쇠퇴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숟가락은 아주 작고 설사 있더라도 잘 쓰지 않는데 그 이유는 중국 사람들은 식탁에 둥글게 모여앉아 준비된 음식을 함께 먹는 문화 입니다. 이 과정에서 큰 그릇에 놓인 음식들을 함께 공유해 먹는 관습이 자리 잡게 됐고, 의자에 앉은 상태로 자신과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음식을 집기 위해 자연스럽게 젓가락의 길이가 한중일 중에서 제일 길어졌습니다. 일본 젓가락은 길이가 짧고 끝이 뾰족한데 젓가락 끝이 뾰족한 이유는 생선의 가시를 정교하게 발라내려면 끝이 뾰족한 젓가락이 편한 이유에서 입니다. 중국과 일본은 두 국가 다 찌개나 국 보다는 반찬과 밥을 중시로 식사를 했기에 숫가락 보다는 젓가락 문화가 발달 하게 된 것 입니다. 하지만 우리 나라는 국과 찌개 종류가 많이 발달해 숫가락은 필수 적으로 필요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