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쿨한메추리175
쿨한메추리17523.09.17

독립운동가 지청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독립운동가 지천청님 대해서 알고싶어요! (업적이나 어떤 배경이였은지, 인물의 활동이나 행동 등등) 시간 순으로 정리해주시면 더 좋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청천(1888 ~ 1957, 본관은 충주이며 1888년 1월 5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고 합니다.

    독립운동가, 정치가.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한국독립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며, 동아혈성동맹의 간부로서 각지의 항일단체를 규합하는 데 힘썼습니다.

    임시정부의 광복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항일전을 수행하다가 광복 후 귀국, 대동청년단을 창설했다고 합니다.

    제헌국회의원, 제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휘했으며지청천은 청산리대첩 이 무렵 활동한 독립운동가 입니다

    독립운동가 지청천장군은 일본이 대륙침략에 기승을 부렸던 1933년 6월10일 만주의 길림성에서 독립군을 이끌고 일본의 이이즈카연대를 섬멸한 공을 세우고 40년부터는 임시정부의 광복군사령관으로 항일무장투쟁을 지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본관 충주 , 호 백산, 본명 대형 , 일명 이청천 입니다.

    1888년 1월 5일 서울 출생이며 1908년 정부 유학생으로 일본 육군중앙유년학교를 졸업, 1913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보병중위로 있다 1919년 만주로 망명합니다.

    신흥무관학교 교성대장이 되어 독립군 간부 양성에 전력, 1920년 서로군정서가 조직되자 그 간부에 취임합니다.

    청산리 전투 후 일본군의 대대적인 보복을 피해 신흥무관학교를 폐쇄, 병력을 이끌고 간도 안도현 밀림으로 이동 , 서일과 김좌진 등과 대한독립군단을 조직, 여단장으로 있다가 만주를 벗어나 헤이룽장성 자유시에 집결, 1921년 흑하사변이 발발하자 다시 이르쿠츠크로 이동, 그 곳에서 고려혁명군관학교의 교장직을 맡으며 이듬해 군관학교의 방침과 소련 당국의 규정이 대립되어 체포되었다가 임시정부의 노력으로 석방됩니다.

    1925년 양기탁, 오동진 등과 정의부를 조직, 군사위원장 겸 사령장이 되고 그해 군민의회가 설치되자 군무위원에 선출, 1930년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 군사위원장이 되며 별도로 한국독립군을 만들어 총사령관이 되고 1932년 동아혈성동맹의 간부로서 각지의 항일단체를 규합하는데 힘썼습니다.

    1933년 치치하얼에 잠입해 할일지하운동을 지휘, 한,중연합군의 총참모장이 되나 중국공산당의 압력을 받아 무장해제당한 후 그 해 재만독립군을 산하이관으로 이동시키고 뤄양군관학교에 한국인특별반을 설치, 그 총책임자가 됩니다.

    1940년 충칭로 옮긴 임시정부의 광복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항일전을 수행하다 1945년 광복 후 귀국, 대동청년단을 창설, 1948년 제헌국회의원, 정부수립 후 초대 무임소장관을 역임, 제2대 국회의원, 민주국민당 최고위원을 지냈으며 1962년 건국 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청천( 1888년 ~ 1957년 )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군인이자 항일 독립 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인 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예하 한국 광복군 총 사령관을 역임하였습니다. 독립 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과 초대 무임소 장관을 지냈고, 민주 국민당 최고 위원을 역임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청천(池靑天, 1888년 양력 3월 7일(음력 1월 25일) ~ 1957년 양력 1월 15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군인이자 항일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인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예하 한국광복군 총사령관을 역임하였고 독립 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과 초대 무임소 장관을 지냈고, 민주국민당 최고위원을 역임하였습니다. 본관은 충주(忠州), 호는 백산(白山), 본명은 지대형(池大亨), 일명 이청천(李靑天)입니다.

    한말 무관학교(武官學校)에 입교, 2학년 때 1, 2년생 40여 명과 함께 정부유학생으로 일본 육군중앙유년학교(陸軍中央幼年學校)에 들어갔다.

    이 때는 본명인 지대형을 사용하였다. 유년학교는 뒤에 일본사관학교 예과가 된 3년제이며, 다시 본과 2년이 있는데, 유학 도중 한일합병이 되어 본과에 편입되었다.

    제26기생으로 1913년 졸업, 중위가 되면서 1919년 만주로 망명하여 대일무력항쟁을 지도하기 위해 일본의 병서와 군용지도를 가지고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찾았다.

    독립군 간부양성에 진력하고 1920년 상해임시정부 산하의 만주군정부(滿洲軍政府) ·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의 간부가 되었다. 같은 해 10월 일본이 혼춘사건(琿春事件)을 조작하고 청산리싸움에서 대패하자, 일본군은 무차별 살육을 감행하였다.

    이에 서로군정서를 이끌고 간도성(間島省) 안도현(安圖縣) 밀림으로 이동, 서일(徐一) · 김좌진(金佐鎭) 등과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조직하고 군단의 군사고문이 되었는데, 이때 이청천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1921년 6월 소련혁명군과의 마찰로 흑하사변[黑河事變, 자유시사변]이 발발하자 이르쿠츠크로 이동하여 고려혁명군을 1개 여단으로 재편하는 데 참여하였다. 같은 해 10월 여단 내에 설치한 고려혁명군관학교 교장에 취임하였다.

    1922년 4월경 군관학교 교육방침과 소련 당국의 규정이 대립되어 체포되었으나 7월 임시정부의 노력으로 석방되었다.

    1923년 1월 상해에서 국민대표회의가 개최되자 고려혁명군 대표로 참가했고, 1924년 국민위원회를 구성하고 군사위원에 선임되어 활동했다.

    항일 독립군의 재건과 통합 운동이 계기가 되어 북만주에는 신민부(新民府) · 대한의용군사회(大韓義勇軍事會)가 생기게 되고, 남만주에는 대한국민단(大韓國民團)이 조직되었고 서로군정서가 모태가 되어 대한통군부(大韓統軍部)가 조직되었다.

    그 뒤 양기탁(梁起鐸) · 오동진(吳東振) 등과 함께 대한통군부를 대한통의부로 개편하였고 다시 정의부로 확대 조직, 군사위원장 겸 사령장이 되었다.

    김좌진이 저격당한 뒤, 1930년 7월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창당에 참여, 군사위원장이 되었으며, 별도로 한국독립군을 만들어 총사령관이 되었다.

    1932년에는 동아혈성동맹(東亞血成同盟)의 간부로서 각지의 항일단체를 규합하는 데 힘썼다. 1933년 치치하얼[齊齊哈爾]에 잠입하여 항일지하운동을 지휘하면서 한중연합군의 총참모장이 되었으나, 중국 공산당의 압력으로 무장해제 당한 뒤, 같은 해 뤄양군관학교[洛陽軍官學校]에 한국인 특별반을 만들어 책임자로 활약하였다.

    1940년 9월 17일 임시정부가 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하자 사령관이 되어 1945년 환국할 때까지 항일투쟁을 계속하였다. 환국 후 26개 청년단체를 통합한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을 창설하여 단장이 되었다.

    제헌국회의원과 초대 무임소 장관을 역임하고 제2대 국회의원, 민주국민당의 최고위원을 지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4421)

    그럼 깊이있는 질문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