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 올해 괜찮아질까요? ?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은 OECD와 한국은행 , KDI 등 주요기관에서 0.8%~1.0%낮게 전망되고 있는데요 반도체 건설 부진, 글로벌 통산리스크등이 원인이라는데 과연 전망은?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의 성장부문을 살펴보시면 됩니다 경제의 성장부분은 내수소비 그다음 내수의 투자 정부의 소비라고 할 수 있는 재정지출 마지막 순수출입니다
그렇다면 최근 경제성장을 보면 올해1분기는 (-)성장이었고 2분기에는 0.6%의 소폭성장이었습니다 보시면 내수의 직접투자는 이번에도 크게 급감하면서 마이너스 성장의 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즉 성장을 아예 감소시키고 있고 내수소비는 매우 소폭 이제 증가한 수준입니다 즉 최근 소비쿠폰과 새로운 정부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폭증가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새정부가 들어서며 재정지출도 소폭증가하였지만 거의 성장기여도는 없는 플랫한상태입니다
즉 하반기에도 정부의 세액공제나 투자와관련된 직접적인 인센티브가 없다면 불가능한데 문제는 이번에 법인세를 올리고 각종 세법개정으로 세금을 올리는 즉 전세계 OECD국가와는 반대로 세금을 올리는 정책으로 국내의 직접투자가 늘리기 힘든환경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이는 결국 내수소비도 늘기가 힘든 민생소비쿠폰은 일회성으로 작동할 요인이 큽니다
즉 그렇다면 여전히 이번에 수출성장이 5%이상 증가하면서 경제 GDP 플러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것입니다 그런데 하반기에는 이번에 상호관세가 15%로 이상이 부과되었고 각종 품목관세 이상의 리스크가 큽니다 이말은 결국 하반기의 수출의 물동량을 감소시키게 되고 한국의 수출성장이 감소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작동될 가능성이 큽니다.
거기다 상반기 반도체의 기여도가 사실상 다 차지한 원인도 HBM부분인데 과연 기부분이 지속적으로 폭발적으로 수출성장을 기여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낙관적인 전망은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문제가 거의 해소되고 나머지 산업들도 전반적으로 약하지만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수출 물량도 조금씩 늘어나고 AI 기반 산업도 성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건설경기는 회복이 안되고 있으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을 계속되며 민생지원금을 풀지만 아직까지 내수 회복세는 미약합니다.
고물가 금리 인상부담은 소비자 지출을 억제하고 있지요.
이미 우리나라도 1%대의 저성장 시대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이며 정부 정책이 어떻게 지원이나 보강되느냐에 따라 경제성장도 기대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전쟁 종식이 되면 글로벌 경제 상황이 어떻게 흘러가느냐 변화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미국과의 관세 협상만 잘넘긴것이 맞다면 하반기에는 점차 회복할 전망입니다
그러나 변수는 트럼프의 변심이기 때문에 끝까지 마음을 놓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저성장 국가로 진입할 것이기에 0%대 성장이 가시화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한국 경제는 반도체 회복 기대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통상 리스크와 내수부진이 발목을 잡아 성장률이 0.8~1%로 낮게 전망됩니다.
다만, 하반기 수출 회복과 금리 인하 가능성이 현실화되면 점진적 개선여지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가 올해 점차적으로 나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이러한 것은 점차적으로 나아지는 것이지, 단기적으로 단순하게 회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은 글로벌 위기의 영향도 있지만, 국내의 내란 등으로 인한 혼란으로 대외적인 투자자 자체가 줄어든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회복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적으로 회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등으로 국내 소비 여건이 다소 개선되고 미국과의 주요국 통상 협의 타결로 대외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됐지만, 미국의 관세 인상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게 자명하기에 경제가 안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전망이 안좋아지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가 노란봉투법이 통과되면 산업계 전반에 상당한 혼란이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올해
관세문제도 있고 내수도 여전히 어려워
낮은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싶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