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교육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밥먹이고 산책가거나 놀이터에서 놀다 오면
아침낮잠(대략1시간 안되게 잠) 한번 자고 점심 먹고
놀다 보면 오후3~4시에 오후 낮잠 한번 자고 저녁에 밥먹고 씻고 자는데
낮에 매번 던져서 혼나고 엄마 때려서 혼나고가 반복입니다.
아이 때리는 것도 맘아파서 혼낼때마다 속시끄럽고 맘만 아픔니다.
이런경우엔 어떻게 훈육하는게 좋은 걸까요??
제가 잘못 훈육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올바른 교육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를 훈육하는 과정은 정말 어려울 수 있지만, 올바른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일단 아이가 좋은 행동을 할 때마다 칭찬해 주세요.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부정적인 행동보다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규칙을 정하고, 그것을 일관되게 적용하세요. 규칙이 명확하면 아이도 이해하기 쉬워요. 또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화났을 때는 이렇게 말해봐" 같은 방식으로 대화의 기회를 주세요. 그리고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먼저 보여주세요. 아이는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우기 때문에, 차분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가 불안정한 감정을 느낄 때는 잠깐 시간을 주어 스스로 진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혼낼 때는 감정을 가라앉히고, 아이와 대화하며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야기해보세요.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가 던지거나 때릴 때, 그 행동 대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세요. 예를 들어, "손으로 치지 말고, 장난감을 사용해보자"와 같이요. 이런 접근 방법들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힘든 시기일수록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하니,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1 : )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던지거나 때리는 행동을 반복할 때,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일 수 있으므로, "화가 나서 그래"라고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주세요.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던지지 않았을 때 즉시 칭찬해 주어 올바른 행동을 유도하세요.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과 일관성 있는 규칙을 적용하세요. 아이가 던지거나 때릴 때는 단호하게 잘못된 행동임을 알려주고, 행동의 결과를 경험하게 하세요. 에너지를 충분히 발산할 기회를 제공하고, 부모가 감정을 차분하게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아이가 더 건강하게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할 때 때리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폭력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공포심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물론 아닌경우도 있겠지만요. 단 잘못된 행동을 할 때는 반드시 잘못된 행동을 언급하고 바른 행동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훈육은 꼭 필요합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어떨땐 혼났다가 어떨땐 별말 없다면, 보통은 그 행동을 계속 하면서 눈치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는 단호하고 일관적으로 훈육을 하는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떄리거나 던질 때 차분하게 '안돼'라고 말하면서, 아른 대안 행동을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 '물건을 던지지 말고 여기에 놓자'라고 대안을 제시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낮에 던지거나 때리는 행동을 보일 떄 그 이유를 파악해보세요. 이 시기의 아이들은 말로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어 감정이나 욕구를 행동으로 나타낼수 있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물건 던지고 혼내고를 반복 하시나 보네요
물건 던지는 거 대신 대체 행동을 제시해 주세요
차라리 공이나 인형을 꾹 누르는 행동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혼내는 거 보다 아이가 물건 던지지 않고 감정 표현을 잘할 때마다 칭찬하는 것으로 대체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