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조무사가 응급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문적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응급 상황 발생 시 간호조무사가 환자의 상태를 빠르게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훈련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구희진 간호조무사입니다.
응급 상황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일단 그런 상황들을 많이 접해야만 경험이 쌓인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응급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일단 그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게 가장 중 요하죠 그리고 침착함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간호조무사입니다.
간호조무사가 응급상황 발생시 환자의 상태를 살펴보는것이 중요한데요.
응급상황의 대부분이 심폐소생술 및 목에 사탕 등이 걸려 하임리히법 그리고 간질 등르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요.
-심폐소생술은 초기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환자 의식을 확인하고 호흡이 없는 경우에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해요.
1.환자 의식수준 확인 : 환자에게 말을 걸어 반응을 확인해요. 만약 반응이 없다면 어깨를 가볍게 흔들어 의식이 있는지 확인해요.
2.호흡과 맥박을 점검 : 환자의 호흡을 확인하기 위해 입과 코 가까이 귀를 대고 호흡소리를 듣거나 경동맥이 흐르는 목에 손을 대어 맥박을 확인해요.
3.CPR을 요청한 후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요.
4.CPR이 올때까지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힘들경우 다른사람과 번갈아 실시해요.
5.전문의가 올때까지 CPR과 심폐소생술을 반복해서 호흡이 있을때까지 실시해요.
-하임리히법은 음식물로 인한 기도 폐쇄일 경우 실시하는데요. 질식의 위험이 있을때 흉부의 압박을 주어 음식물을 밖으로 토해내는 처치법이에요.
1.환자의 뒤에서 약간 무릎을 굽힌 상태로 자세를 잡고 환자의 몸은 약간 숙어져 있는것이 좋아요.
2.주먹을 감싼 채로 환자의 흉부(명치) 부분에 주먹을 갖다 대고 주먹쥔 손을 아래서 위호 퍼 올리면서 힘걱 압박을 해요.
3.실폐할 경우 음식물이 나올 때까지 여러번 반복하여 실시해요.
*이외도 다른 응급환자가 발생 시 응급처치 대처의 경우 간호조무사는 꾸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