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5.31

높은곳에 오르면 귀가 막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높은 산을 오르거나 비행기를 타고 위로 올라가면 누구나 귀가 막히는 경험을 해보았을 것인데 이렇게 높은 곳으로 올랐을때 귀가 막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곳으로 갈 수록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는 귀의 안쪽의 기압은 처음에 1기압이었는데, 바깥 쪽이 1기압보다 낮아지므로, 고막이 귀 바깥으로 불룩해집니다.

    알다시피 귀에는 고막이라는 얇은 막이 있습니다.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이 고막이 진동을 하여 대뇌까지 소리신호가 가야 하는 것이죠.


    하지만 뇌내 기압과 바깥 기압의 차이가 일정하지 않으면 고막은 한 쪽으로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물론 우리의 뇌는 항상성을 항상 유지 하기 때문에 세포 내 삼투압이라던지,혈당,체온 그리고 체내 기압등은 변하지 않게 되어 있습니다.


    항상 일정하도록 간뇌가 유지하죠.


    하지만 체외 기압이나 환경은 변할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예가 높은 곳에 가는 겁니다.


    높은 곳은 낮은 곳보다 기압 자체가 작아집니다.쉽게 공기기둥의 높이가 적어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체외 기압이 체내 기압보다 작아지게 되고 고막이 바깥쪽으로 부풀게 됩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합니다.따라서 체내 기압을 체외 기압과 같게 만들어 고막을 안정시키도록 조정하게 되죠.


    하지만 다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올 때는 체외 기압이 체내 기압보다 높아지므로 고막이 안쪽으로 밀리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같은 원리로 체내 기압이 높아져서 고막은 우너래 자리로 돌아가게 되고 기분 나쁜 통증은 없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에서는 대기권 전체가 누르는 힘을 받는 상태에서 일상생활이 이루어 집니다. 즉 몸안의 압력과 몸밖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가 즉 1기압을 유지하게 됩니다. 높은 산 위에 올라가면 산 높이만큼 대기의 압력을 받지 않으므로 그만큼 압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고도가 높아지면 귀가 먹먹한 이유가 거기에 있어요. 우리 몸 안의 압력보다 몸 밖의 압력이 낮은 상태가 되어 고막이 바깥으로 부풀게 되고, 고막이의 기능을 잘 하지 못해서 먹먹함을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착륙하거나 높은 산에 오를 때 귀가 먹먹해 지는 것은 대기압이 갑자기 변화하면서 고막 안의 압력과 차이가 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며, 침을 삼키게 되면 이관 주변 근육이 수축되어 이관이 열리면서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곳은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아, 우리 귀 내부압력과 맞지않고, 고막의 변형이 일어납니다. 이로인해 먹먹한 느낌을 받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은 산을 오르거나 비행기를 타고 위로 올라가면 누구나 귀가 막히는 이유는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고막이 안쪽으로 움츠러들어 소리가 잘 들리지 않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스타키오관이 기압을 유지하지 못해 고막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평상시에 평평한 모양을 하고 있던 고막이 기압이 강한 중이 쪽에서 외이 쪽으로 밀려나 부풀어 있는 모양을 하게되고 밀려난 고막은 소리를 제대로 진동 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귀의 내부에는 공기압과 균형을 조절하는 공기압 조절기관인 이음관(Eustachian tube)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음관은 중압을 조절하여 귀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보상합니다. 그러나 고도가 높아질수록 외부의 대기압이 감소하면서 귀의 내부 압력과의 차이가 커지게 됩니다.

    이 차이로 인해 이음관이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귀에 압력이 쌓이거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귀가 막힌 느낌이 들거나 멍멍거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대기는 지표면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압력이 감소합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주변의 대기압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귀에 있는 공기와 주변 대기 사이의 압력 차이가 발생합니다. 귀의 중이에 있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고압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높은 고도로 올라갈 경우 주변 대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귀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