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1차접종일때 항체가 얼마나 생기나요?
백신1차 접종일 때 항체가 얼마나 생기나요?
2차 접종을 안 할 경우 어떻게 될런지 궁금합니다
백신 2차 접종을 앞두고 두려운 1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차를 맞고나면 기억면역세포라는 세포가 생깁니다. - 이는 추후에 바이러스 같은 항원이 들어왔을 때 - 항체 생성을 좀더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저장해놓는 기능이라 보면됩니다. - 2차를 맞게된다면 이러한 저장된 정보에 따라 - 항체생성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어 - 우리몸에 항체량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게 됩니다. - 약마다 이러한 기능에 조금씩 차이가 있고 - 사람의 유전형질이나 컨디션에 따라 부작용도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접종을 1차만 접종해도 바이러스에 어느정도 대항할수 있지만 2차접종을 했을경우보다는 대항력이 낮습니다. - 2차접종을 하는 이유는 1차접종때 생성된 항체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입니다. - 2차접종을 하는것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수 있는 가능성을 낮출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19의 유행이 장기간 지속되고 
 다양한 변이바이러스가 계속 출현하는 가운데,
 2회 접종 완료 후 추가접종(부스터샷)의 필요성까지
 논의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2021.07) 영국에서의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1회 접종으로는 변이바이러스(알파, 델타 등)에 대한
 충분한 예방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최소한 2회까지 잘 접종하시는 것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 AZ와 화이자 백신 모두 백신 1차 접종 후 효과는 
 알파 변이가 48.7%, 델타변이가 30.7%로 델타변이가 현저히 낮았다.- 다만 2차 접종 효과는 1차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화이자 백신 2회 접종 효과는 알파 변이가 93.7%, 델타변이가 88%였고
 AZ 백신도 알파변이가 74.5%, 델타변이가 67%였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화이자/모더나 : mRNA 백신으로 항체형성률이 높으나, 경미한 부작용 발생가능성 높습니다. - 2. AZ/얀센 : 바이러스벡터 백신으로 항체형성률이 약간 낮으나, 경미한 부작용 발생가능성 낮습니다. - 기존에 유행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회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90%대 예방률이었습니다. - 델타변이바이러스가 유행하고서는 예방률이 낮아졌습니다. - 화이자의 경우 - 1차 접종후 30%대후반 2차접종후 80%대후반 - 모더나의 경우 - 1차 접종후 60-70%대 2차접종후 90%대 - az의 경우 - 1차 접종후 30-50%대 2차접종후 60-80%대 입니다. - 얀센의 경우 - 1차완료후 5-60%대 -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벡터를 이용한 백신이고 - 주된 부작용은 혈소판감소 혈전증입니다. - 화이자나 모더나의 경우 mRNA를 주입하는 백신입니다. - 주된 부작용은 심근염입니다. - 얀센의 경우 벡터를 이용한 백신인데 한번만 맞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회사별로 말하는 예방률은 - 모더나 - 1차 :70% 2차:90% - 화이자 - 1차: 30% 2차: 80% - az - 2차 :60-80% - 얀센 - 60% - 백신 접종후 이렇게 예방률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 어느 회사것을 맞든 백신을 접종하는게 중요합니다. - 그래야 집단면역이 형성될수 있습니다. - 답변남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모두 같은 기전(mRNA 방식)의 백신이고,접종과 관련된 이상반응(심근염, 심낭염), 접종 횟수,예방접종의 효과 등의 여러가지 측면에서전반적으로 비슷하게 확인되고 있습니다. -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은모두 바이러스벡터 방식의 백신이기 때문에보관 방법, 백신 관련 이상반응(혈소판감소성 혈전증),그 외 여러가지 특징에서 화이자/모더나의 백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현재는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대다수 입니다. - 델타변이의 경우 - 화이자1차접종시 30%대 예방률이고, 2차까지 접종시 80%대후반의 예방률입니다. - 모더나의 경우 1차접종시 70%대 ,2차접종시 90%대 예방률입니다. - az의 경우 다른 두백신보다 효과가 조금 떨어집니다. - 2차까지 접종시 60%-80%대후반의 예방률입니다. - 얀센의 경우 60%대 입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1차 접종 하면 항체는 60%이상 생깁니다. - 2차접종까지 마쳐야 항체가 90% 이상생기고 외부 바이러스를 대항하기 위한 충분한 항체가 만들어지니 가능하면 2차까지 접종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차 접종만 하셔도 상관은 없지만 대부분은 2차까지 완료하기를 제조사에서 지시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1차만 접종하더라도 충분히 항체가 생성되지만 2차까지 접종한다면 항체 생성률이 90% 이상으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즉 1차보다 훨씬 효과가 좋을 수 있기 때문에 2차까지 접종할 것을 권하고 있는 것입니다. 1차시에는 60~70%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2차 접종을 해야 하는지 문의 주셨습니다. - 질병 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 Q 코로나 예방 접종을 한번만 해도 되나요? - A - 예방접종실시기준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권고사항에 따릅니다. 현재 국내에 도입(예정)된 아스트라제네카사, 화이자사 모더나사의 코로나19 백신은 2회 접종이지만, 얀센(존슨앤존슨)사의 코로나19백신은 1회 접종입니다 - 권장횟수가 2회인 예방접종을 한번 만 할 경우 약간의 면역을 얻을 수 있겠지만, 보호 효과는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접종간격을 지켜 두 번의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와 같은 Q&A가 있습니다. - 참고하고 2차 접종 진행하시기 바라며, 백신 접종 후 이상 있을시 병의원 내원하여서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1차접종만 하는경우에는, 델타변이바이러스에 대해 10-30%정도의 효과만 있습니다. - 2차접종가지 하는경우,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50-70%까지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백신 1차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된 후 2차 접종을 하는 이유는 항체를 형성하는 기억B세포를 확실하게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 1, 2차 접종 후 생성되는 항체는 이론적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2차 접종 후 생성되는 항체가 더 많은 것은 맞습니다), 2차 접종을 받지 않게 되면 항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가 없기 때문에 얼만큼의 효능을 볼 수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을 1차만 접종하시면 - 충분한 항체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 백신의 효과가 크게 감소합니다. - 1차 접종 이후에 심한 알러지, 호흡곤란과 같은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면 - 2차접종까지는 꼭 맞아주시길 권장드립니다. -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통 2차 때 후유증이 더 있습니다. - 1차 때 보다 2차 때 더 부작용이 심한 이유는 - 2차 때 면역반응이 더 폭발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 답변 내용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면역 반응은 항체 수치가 파도처럼 올라갔다가 내려가게 됩니다. 첫번째 파도는 조금 낮지만 2차접종을 할 경우 두번째 파도는 첫번째 파도보다 훨씬 높게 됩니다. 그리고 면역력을 획득하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모더나는 mRNA 백신이고,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입니다.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혈전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심근염 이슈가 있습니다. - 화이자/모더나는 90%대,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60%대 항체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2차접종까지하여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445151 -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30004 -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차만 맞으면 항세형성률이 많이 줄어듭니다. - 코로나 백신마다 항체 형성률이 다르지만,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약 70%, 화이자, 모더나는 95%, 얀센은 66% 정도 됩니다. 예방효과만 봤을 때 모더나 화이자가 더 우수합니다. 부작용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