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착장애 있는 아이들 어떤식으로 양육하시나요?
애착형성에 약간 강박관념이 있거나 불안도가 높은 아이들은 어떤 방식으로 양육 하시나요? 아무래도 독립과 자립을 강조해서 키우시는지?
아이들이 애착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분리불안증상을 많이 느낀다고 합니다. 따라서 어린시절 부모님과의 애착형성을 잘 해주시는게 아주 중요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어릴때 아이와 함께 지내는 시간을 많이 보내주시는게 중요합니다. 특히나 몸으로 놀아주는 행위를 많이 함으로써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소통을 많이 하시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어릴때에는 더더욱이나 같이 보내는 시간을 많이 만들어주세요
애착형성에 있어 강박관념이 있거나 불안감이 높은 아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돌봐주면서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입니다.
올바른 애착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애착이 형성디는 시기에 양육자가 아이의 울음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가 양육자를 찾을 때 언제나 나타나서 안심시켜 주는 과정이 충분히 있어야 아이는 안정감과 신뢰를 배울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규칙적인 일정을 유지합니다. 아이들이 편안하게 쉴공간을 항상 마련해 놓습니다.
두번째로는 아이들이 감정을 마음껏 표현할수 있도록 도와주고(그림, 놀이) 그 표현에 대해 충분히 공감과 이해와 인정을 합니다.
그다음으로 아이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아이의 불안이 계속 심각하다면 직접 전문가 상담을 받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애착형성이나 불안감이 높을때는 아이를 다독이고 감정적으로 공감해주시면서 안정감을 주시는것이 좋을수있습니다.
애착이 불안정한상태에서 자립을강조한다면 아이는 더욱불안감을 느낄수있을것입니다.
장애가 있고 불안도가 높다면 거기에 대한 치료를 먼저 해야지 독립과 자립을 강조하는 것은 순서가 잘못 된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아이라면 독립 자립을 강조하는게 맞다 생각되지만 도움이 필요한 아이는 의학적으로, 정서적으로 도움을 충분히 주는 것이 우선으로 보입니다.
애착이 강하게 형성이 되어 있는 아이들은 심리적으로 굉장히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아이들에게는 예측 가능성을 부여하는 게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이 끝나고 엄마를 다시 만나게 될 때를 이야기할 때 몇 시에 언제 어디에서 엄마를 다시 만날 것이다라고 명확하게 미래에 대해서 예측 가능한 정보를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애착 대상에 대해서 집착이 옅어지거나 분리된 상태를 잘 유지한다면 이에 대해서 칭찬을 확실하게 해 주시고 때에 따라서는 보상도 해주세요.
애착장애를 경험하는 아이들은 기질적으로 정서적 민감도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아이들은 어릴적 분리불안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커가면서 여러 양상의 불안증세를 호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자녀의 이러한 기질적 예민성을 이해하며 이를 사전에 예방하는 생활습관과 생각습관을 가지도록 유도 양육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