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세심한황조롱이89
세심한황조롱이8924.01.21

음주 필름끊어짐 현상이 잦아지는데 괜찮을까요?

나이
45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안녕하세요

과거 음주를 해도 필름이 끊어지는 현상은 없었는데요.

최근 조금만 먹어도 필름이 끊어져 아무 생각이 안납니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상당히 많아 지고 있는데 원인이 뭔지 모르겠네요.

혹시 건강 이상 신호 아닐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음주를 과도하게 할 경우 알코올에 의한 영향으로 뇌 기능이 일시적으로 저하되게 되면서 기억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름이 끊어지는 소견만 가지고 건강 상의 이상 신호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만, 반복될 경우 혈관성 치매의 발생에 위험 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반복적으로 블랙아웃을 경험하시면 알코올성 치매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가급적 절주하실 필요가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셔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음주 오남용의 진단기준에 속합니다.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 음주클리닉 방문해서 진료보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건강의 적신호 입니다. 잦은음주나 과음은 뇌세포의 손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증상이 잦아진다면 반드시 금주가 필요하며 신경과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엄청난 건강의 이상신호입니다.

    알코올성 치매의 초기증상이니 음주량과 횟수를 현재보다 많이 줄이시고, 스스로 조절하기 어려우시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신경욱 의사입니다.

    맞습니다. 알콜성 치매가 발생하는것으로 보입니다.

    내과 또는 신경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빨리 내원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음주 후 기억 상실, 일명 '블랙아웃'을 자주 겪는다면, 이는 심각한 건강 신호일 수 있습니다. 블랙아웃은 단기 기억 상실의 일종으로, 알코올이 해마에 영향을 미쳐 기억 형성을 방해하며 나타납니다. 해마는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부위이며, 알코올은 이곳의 신경전달 물질 작동을 방해해 기억 형성 과정을 마비시킵니다. 또한 알코올은 아세트알데하이드와 같은 독성 물질을 생성하여 뇌세포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뇌의 이랑이 평평해지고 뇌실이 확장되며, 결과적으로 인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알코올성 치매는 알코올 섭취로 인한 뇌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치매 유형으로, 폭력적인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알코올이 전두엽을 파괴하기 때문인데, 전두엽은 인지 및 감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두엽의 파괴는 충동 조절 능력의 약화로 이어져 폭력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알코올성 치매는 치료가 어렵고, 한 번 손상된 뇌세포는 회복이 어렵습니다. 또한, 알코올은 비타민 B1의 분해를 촉진하여 베르니케 코시코프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보행 장애나 인지 장애를 특징으로 하고 노인성 치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