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대북 전단 살포는 왜 시작이 된 건가요?

어제 오늘 대북전달 살포 문제로 여기저기 뉴스들이 많이 나오던데요..

이게 어떻게 해서 시작이 된 건가요?

접경지역 주민들이 소음 문제가 해결되서 안심이 됐는데..

대북전단 살포 문제로 다시 힘들어질까봐 걱정 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대북전단 살포는 사실 보수 쪽에서 좋아할만한 행동이죠. 북한을 자극해서 북한이 대남 도발을 한다면 이에 따르는 북풍몰이를 시작으로 진보 진영을 공격하고 자신들이 우위를 점하려 하죠. 대표적인 것이 윤석렬 정권이 드론을 보내고, 대북 확성기, 전단살포 등이 있었죠. 그에 따라 북한에서도 오물풍선, 대남 확성기 등으로 대응했죠. 물론, 북한의 도발에 철저히 대응해야 하는 것은 맞으나 그 또한 상황에 맞게 서로가 윈윈할 수 있어야 하죠.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대북 전단 살포는 한국에서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정보를 전달하거나 체제에 대한 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전단지를 북한으로 날려 보내는 활동으로, 주로 냉전 시기인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대한민국 정부와 군이 심리전의 일환으로 대북 전단을 제작해 살포했습니다. 이 전단은 주로 북한 체제의 실상, 남한의 경제 발전, 자유민주주의의 우월성 등을 알리는 내용을 담고 있었고, 비행기, 풍선, 확성기 방송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해 북한 지역으로 전달되었습니다.

    이후 1990년대 중반, 특히 북한의 경제난과 식량난(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에는 탈북민 출신 인사들과 민간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대북 전단을 제작·살포하는 활동이 늘어났습니다. 이들은 북한 주민에게 외부 세계의 정보나 자유, 인권의 개념을 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USB, 소형 라디오, 달러 지폐 등을 함께 보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대북 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와 인권 문제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군사적 긴장 고조와 남북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도 많았습니다. 특히 북한은 전단 살포를 체제 위협으로 간주하며 강하게 반발해왔고, 남북 관계가 민감할 때는 충돌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