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는 왜 생긴 것이고 장점은 무엇인가요?
전세제도는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특이한 제도라고 들었는데요. 그냥 월세로 사는 게 더 좋을 것 같은데 왜 생긴 건지 궁금해요. 어떤 장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는 그이전부터 있었지만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난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 시기를 겪으면서 은행 일반 금리가 년간 20%일 정도로 매우높았기 때문에 사금융처럼 전세제도가 활발해졌습니다
전세제도로 임대인은 무이자로 목돈을 마련할수 있어서 좋았고 임차인은 저렴하게 주거지를 마련할수 있었고 또 저축한다는 개념이 있었습니다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아직까지 이어져오고 있지만 요즘 전세사기로 인해 반전세나 월세를 많이 찾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전부터 우리나라에 토지나 건물을 대상으로한 물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19세기 개화기에 수많은 외국인과 농촌인구의 도시지역 이동으로 주택수요가 증가하면서 지금과 비슷한 제도로 발전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부동산 관련한 금융 시스템이 없어서 주거를 마련해가는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된 것인데, 이후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하다보니 월세보다는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해주는 전세의 장점이 두드러지다 보니 지금까지도 전세 제도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근 전세사기 피해가 심해져서 대체 방안을 찾고 폐지론이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과거 우리나라 금융이 발달하지 않아 임대인은 목돈이 필요하고 세입자는 거주 안정을 원해 서로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져 생겼습니다.
지금은 법 제도로 보호 받고 있고 앞으로도 없어지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