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기특한할미새139
기특한할미새13923.12.23

우리나라 김장의 유래는 어떻게 될까요?

우리나라는 겨울철에 김장을 합니다. 지역마다 김장 시기가 다르기는 한데 보통 겨울철에 날씨가 추워지기 전에 김장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김장의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장의 유래가 궁금하군요.

    김장의 어원 또한 한자어 [沈藏 = 딤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김치의 음가 변화와 마찬가지 원리로 ‘沈藏’의 고대 한자음을 반영한 ‘딤장’이 ‘짐장 > 김장’으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김치가 본디 겨우 내 먹을 채소를 대량으로 만들어 저장해 두기 위해 만들어진 음식이기 때문에 김치의 역사가 곧 김장의 역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김장의 역사를 입증해 주는 가장 오래된 유적은 속리산 법주사의 돌항아리로, 성덕왕 19년(720년)에 설치되어 삼천여 명의 승려를 위한 김칫독으로 사용되었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어 이때에 이미 김장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장의 기원에 대해 정확한 것은 없습니다. 다만 조선시대부터 이른바 품앗이 라 하여 마을 사람들이 서로의 일을 다함께 돕는 문화가 있었고 그 과정 도중 김치를 담그던 것이 오늘날의 김장 문화로 이어진 것으로 추측합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장의 유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농경사회였던 한반도의 역사에서 비롯된걸로 보입니다.

    한반도는 4계절을 겪는 나라이기에

    가을에 수확한 작물을 겨울동안 저장하기위해 보관하며 김치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치의 등장 역사가 불분명한 것처럼, 김장 행위 역시 언제부터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조선 시대부터 이른바 '품앗이'라 하여 마을 사람들이 서로의 일을 다함께 돕는 문화가 있었고 그 과정 도중 김치를 함께 담그던 것이 오늘날의 김장 문화로 이어진 것이 아닐까 추측할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