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물을 담아 놓은 페트병 표면에 물이 맺히는 현상은 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찬 물을 페트병에 담아 놓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와서
확인을 해보면, 페트병 표면에 물방울들이 맺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런 현상은 왜 생기는 건가요?
페트병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은 응결(condensation) 때문입니다. 이 현상은 찬 물이 든 페트병이 주변 공기와 접촉하면서 일어납니다. 그 과정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찬 물과 페트병: 페트병 안의 물이 차가울 경우, 페트병의 표면 온도도 낮아집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 공기 중에는 항상 일정량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뜻한 공기일수록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고, 차가운 공기일수록 수증기를 덜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슬점: 공기가 특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 됩니다. 이 온도를 이슬점(dew point)이라고 합니다.
응결 현상: 차가운 페트병 표면이 주변 공기를 냉각시켜 이슬점 이하로 떨어뜨리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페트병 표면에 응결하여 물방울이 형성됩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름철에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 외부에 물방울이 맺히거나, 겨울철에 차가운 창문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이러한 응결 현상은 온도와 습도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공기 중의 수증기 양이 많고 페트병의 온도가 낮을수록 더 많이 발생합니다.
비유를 하자면, 차가운 페트병은 공기 중의 수증기를 빨아들이는 자석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찬 페트병 표면이 공기를 차갑게 만들고, 차가워진 공기는 수증기를 유지할 수 없어 물방울로 변하는 것입니다.
페트병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은 "결로"라고 합니다. 이 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찬 표면에 닿았을 때 물방울로 응결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최근에 나오는 식기세척기에서 물기 제거를 이 결로를 활용해서 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세척기 벽면을 차가운물로 채워서 내부의 수분을 그 쪽으로 응집시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결로의 원리는 찬 물을 담은 페트병의 표면 온도가 주변 공기의 온도보다 낮습니다. 공기 중에는 항상 일정량의 수증기가 존재하는데 페트병의 차가운 표면에 이 공기들이 접촉하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수용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줄어듭니다. 과잉 수증기 상태가 되면 액체로 변환되어 물방울이 됩니다. 이것이 페트병의 차가운 표면에 맺히게 되는 것입니다.
공기중에는 습기가 있습니다. 이 습기는 찬온도의 물체를 만나면 응결이 됩니다. 그래서 패트병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입니다. 공기중의 습기가 이슬점을 만나서 맺히는 것이지요. 공기보다 패트병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