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질문이 많은 초등학생에 대한 부모의 고민이 있습니다.

우리 아이는 정말 궁금한 것이 많은 것 같아요. "왜 하늘은 파래요?", "물은 어떻게 만들어져요?", "별은 왜 반짝여요?" 같은 질문이 매일 쏟아지죠. 아이의 호기심이 이렇게 왕성하다는 것은 정말 기쁜 일인데, 가끔은 부모로서 고민이 되기도 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권명희 보육교사
    권명희 보육교사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들은 호기심도 많고 다양한 질문을 통해 세상을 탐구하고 이해하려고 합니다. 아이가 질문을 많이 하다보면 귀찮기도 하고 가끔은 답하는 것이 부담스러울때도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아이가 질문하는 것에 대해 가능한 답변을 해주는 것이 아이의 호기심과 탐구심이 증가하며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 자신감을 증가시킬수 있습니다. 간혹 답변해주기 힘든 것은 아이와 함께 책이나 정보검색을 통해 답을 찾아보는 방법을 쓰며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져도 좋습니다. 조금 힘들더라도 아이의 호기심을 존중하고 함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아이와의 유대감도 쌓으시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는 정말 궁금한 것이 많은 것 같아요. "왜 하늘은 파래요?", "물은 어떻게 만들어져요?", "별은 왜 반짝여요?" 같은 질문이 매일 쏟아지죠. 아이의 호기심이 이렇게 왕성하다는 것은 정말 기쁜 일인데, 가끔은 부모로서 고민이 되기도 해요.

    아이를 키우다보면 아이가 사물이나 가상적인것에 관심을 갖고 폭풍질문을 하는시기가 옵니다.

    어려운질문을 던져 난감할때도 많은 데요 그래도 성실이 아는 한도내에서 대답해주시고 정말 어려운 문제는 엄마도 잘 모르는것이네 라고 말씀해 주시고 아이와 함께 책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찾아 알려주시는것도 좋습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서 성가시다는 이유로 아이의 질문에 반복적으로 성의 없게 대답하거나 회피한다면 아이가 학습에 대한 동기를 잃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이가 본인의 지적인 영역을 확장시켜나갈 수 있도록 충분히 지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유야교육 전공자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겪는 고민인데 질문에 어떻게 대답해야 아이의 정서에 좋은지 또는 이런 질문을 계속 받아줘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것이 고민인 거 같아요

    하지만 아이들의 많은 질문들은 호기심이자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아이의 정서적인 능력 발달에

    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부모는 항상 아이의 그런 질문에 대해서 인내심을 갖고 대답해 주시길 바라요

    아이가 세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라고 생각하시면 조금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겁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호기심이 꺽이지 않도록 계속 열린 대화를 유지해 주세요

    질문이 반복되더라도 아이에게 핀잔을 주지 마시고, 고민할 시간을 주세요

    아는 부분은 최대한 설명해주고, 함께 찾아 보거나, 역 질문을 통해서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육아하다보면 이렇게 아이가 폭풍질문을 하는 시기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정답을 원하는 것보단 자신의 궁금증과 생각에 대해서 부모님들과 함께 이야기하는 걸 더 좋아할 겁니다. 물론 진짜 궁금해서 물어보는 것도 있지만 부모님과 소통하는 게 즐거워서 질문을 하는 아이들도 종종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질문을 많이 하는 시기에 아이들과 대화를 많이 나누시는 걸 권장해 드립니다. 조금은 귀찮으실 수 있지만 그래도 이런 시기에는 아이들에 맞춰서 생활해주는게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질문이 많을 수록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고 떄로는 압박감이 느껴질수 있습니다. 이럴땐 아이 질문을 잘 들어주고 함꼐 정답을 찾아보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질문을 잘 들어주고 함꼐 답을 찾아보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 스스로 탐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질문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시키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