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왜 상한가제도가 있나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는 왜 30퍼센트 상하한가 제도가 있는건가요? 미국주식시장은 제한없이 오르고 내리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왜이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처음 설립된 당시부터 가격제한폭이 있었다고 하며, 이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자본시장의 안정성이 떨어짐에 따라서 가격이 급변성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어 투자자보호를 위해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과거 1995년에는 6%의 가격제한폭에서 1996년에는 8%, 1998년 3월에는 12%, 1998년 12월에는 15, 2015년 6월에 지금의 가격제한폭인 30%까지 확대된 상태입니다. 이러한 가격제한폭은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대만, 중국과 베트남, 태국에서 한국과 비슷하게 가격제한폭 제도가 있는데, 태국은 한국과 같이 30%이며 대만과 중국은 상하 10%의 가격제한 폭을 두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영국, 독일, 홍콩, 뉴질랜드 등과 같은 국가에서는 이 가격제한폭이 없는 상태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식 가격의 급격한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30%로 가격변동 상한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식가격 상한제가 없을 경우 변동성이 너무 커지는 것을 금융당국이 우려하고 있기 떄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