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뽀로로
뽀로로23.03.23

강아지 발톱을 자르다 피가 나도 괜찮은가요?

나이
성별
몸무게
반려동물 종류
강아지
품종
중성화 수술

강아지 발톱을 자르다가 피가 났는데 그냥 지혈이 되면 괜찮은 건지 아니면 무슨 약을 발라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발톱에 혈관이 있어서 피가 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예찬 수의사입니다.

    약간의 출혈이 나도 큰 문제는 되지 않지만, 그래도 지혈을 해주셔야 합니다.

    집에 헥시딘이나 포비돈이 있다면 소독 후 연고 도포해주시는 것이 좋겠지만, 없는 경우 깨끗한 수건으로 꾹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연고를 발라주셔도 되는데, 이것은 동물병원에서 처방 받으셔서 사용해야하구요

    발톱을 깎다가 끝부분에 혈관을 살짝 건드렸다면 응고제를 발라서 지혈만 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강아지가 아픈 기억때문에 앞으로 발톱을 깎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는 있어요

    응고제가 집에 없다면 녹말가루나, 베이킹 파우더 가루를 솜에 묻혀서 발톱에 눌러 지혈해주세요.

    꾹 눌러서 피가 멎는 것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만약에 혈관을 너무 크게 잘라버려서 피가 계속해서 난다면, 동물병원에 데려가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발톱에 피가났고 지혈이 되었으면

    일단은 성공한것입니다

    2차 세균 감염이 생길수도 있기 때문에 항생제 연고를 발 라 주시면

    좋겠네요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3

    안녕하세요. 박예신 수의사입니다.

    강아지 발톱에는 신경과 혈관이 있습니다. 조심히 잘라주시고 만약 피가 난다면 집에 지혈제 구비해놓으셔서 지혈해주시면 됩니다. 다른 연고는 발라주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신경이 혈관과 함께 달리기 때문에 피가 나면 사실 많이 아플 수 있습니다. 트라우마가 돼서 다음에는 자를때 엄청 싫어할수도 있구요. 최대한 조심히 잘라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아 수의사입니다.

    강아지 발톱 안에는 신경과 혈관이 존재합니다. 발톱이 하얀 강아지들은 빨갛게 혈관을 볼 수 있는데요. 이 부위를 잘못해서 같이 자르게 되면 피가 나게 되는 것입니다.

    발톱 자르다가 피가 나는 경우 지혈만 되면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간혹 지혈이 잘 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이런 경우 지혈제 가루를 뿌려서 지혈을 시키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혈제 가루가 집에 없다면 응급처치로 밀가루, 전분가루와 같이 뭉쳐지는 가루를 피가 나는 발톱에 뿌려서 지혈을 시킬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발톱에 혈관과 신경이 흘러서 자르면 피가 나는것입니다.

    지혈제 등으로 지혈하는 방법이 주로 권장되지만 어찌되었건 노출로 인하여 감염의 가능성이 있으니 필요에 따라 항생제 복약등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발톱이란 보행시 지면을 박차서 추진력을 얻기 위해 존재하는 장기입니다.

    때문에 정상적인 산책을 하는 경우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톱은 마모되어 적정 길이가 유지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 정기적으로 발톱을 깎아주지 않으면 안되는 상태라면

    절대적으로 산책량이 부족하다는것을 의미합니다.

    반려견의 최소 산책 횟수 기준은 매일 아침저녁 하루 2회 이상 각 10분 이상이며

    발톱 길이의 변화에 따라 산책량을 조절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하면 지금처럼 피볼일 없이 강아지는 정신적, 육체적으로도 건강해질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발톱 자를때 피가 나는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만일 피가 너무 많이 나온다 싶으면 지혈제를 발라주시면됩니다.

    혈관이 보이지 않는, 검정 발톱을 자르실 때는 천천히 겉에서부터 잘라나가셔야합니다. 조금씩 자르다 보면 내부에 빨갛게 혈관이 보일 수도 있고, 검은색으로 된 점이 보일 수도 있는데 이게 보일 때까지만 잘라주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흰색의 단면만 보이다가 자르다보면 정 중앙 부분의 색이 확실히 변하기 때문에 구분이 어렵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