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거대한할미새100
거대한할미새10023.05.05

5월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동결될까요?

미국은 물가 잡겠다고 연속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번에도 금리 동결이 가능할까요? 국내 물가는 어느정도 내려가고 있지만 미국과의 금리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어서 환율이나 자금유출의 문제는 없을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병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마도 동결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현재 한국이 3.5%, 미국이 5.0~5.25%로 미 금리상단기준으로 1.75%차이입니다. 거의 역사적 갭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근래 증권시장에서 지속적인 외국인 매도에 의한 자본유출이 일어나고 있으며, 환율도 상승추세를 보여 왔습니다.

    그러나, 우리 경제가 감당할만한 수준이어서 큰 충격은 없습니다.


    이렇게 제한된 범위의 영향에 그치는 이유는 미 금리예상때문입니다. 이제 거의 금리상단에 도달했고 머지 않은 장래에 금리 하락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몰가만을 잡기 위한 금리인상 여건이 만만치 않습니다. 바로 경기침체 때문인데요.

    지금 현재 금리에서도 상당한 경기침체를 겪고 있고, 여기서 더 금리를 올리면 경기침체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기침체 시에는 금리인하로 경기부양을 하는 것이 공식입니다.

    그러나, 물가와 경기 양측을 다 고려해야하므로 금리동결로 대응할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올렸던 가장 큰 목적은 '달러환율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달러환율이 1,300원대 초반으로 상승없이 안정을 유지하고 있는 이상 우리나라의 5월 금통위에서는 금리인상을 100%로 동결할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습니다.

    이번 5월 4일 미국의 0.25%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반대로 환율은 30원이상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달러환율이 하락으로 인해 안정을 찾게 되면서 우리나라 금통위는 내부의 가장 큰 문제점인 부채리스크를 감안시에 절대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없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달러환율의 변동성은 현재의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발생하게 될 한미간의 최대 금리격차 예상치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으로서, 미국의 정점금리 수준이 정해져 이미 예측치 범위가 1.75%로 정해졌다면 향후에는 이 범위가 좁혀질 가능성이 크지 더 확대될 가능성은 낮기에 달러환율은 제한적인 상승 혹은 하락할 수 밖에 없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은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 있으나 미국의 경기가 침체에 가까운 지표들이 나오면 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환율에 크게 걱정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동결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동결이 높습니다. 이미 한미금리차는 1.75%이상으로 역대 최대입니다. 환율을 보시면 그렇게 높은 상태는 아닙니다.

    전문가들이 한미 금리차로 인해 1400이상 환율을 돌파할거라 다들 예상했지만, 완전 어긋났었죠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한국은 물가 인상 억제보다 경기침체를 더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기에 금리는 동결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동결 및 25bp 인상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갈리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국내 상황에 비추어 보았을때 금리인상을 결정하기란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504000669

    다만 최종 금리를 결정할때까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두번 쉬었으니 0.25% 정도는 올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유는 물가가 어느 정도 내려가곤 있지만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결국 수입물가의 상승이 오고 생산자, 소비자 물가 순으로 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기 높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금융이나 경제상황을 고려해볼 때 0.25% 정도 올리는 것은 분명 기업, 가계의 부담이 커질테지만

    경상수지 회복을 위해서 어느 정도 감수 해야한다고 보여지네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5월 fomc회의에서 금리인상을 결정햇음에도 불구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부채 문제로 인해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진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금리차이로 인한 투자금 유출 우려가 있긴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경기침체 지표들이 심상치 않기 때문에 금통위가 적극적으로 금리인상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물가상승률, 고용, 수출입 무역 동향 등 금리인상 관련 여건들을 감안하여 결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심각하지만 않다면 금리인상은 부정적으로 보이고 동결될 가능성이 높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