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한국산 페놀 수입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5년 연장했다고 합니다. 관련 기업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반덤핑 관세 장기 연장이 우리나라 화학 소재 산업에 미치는 전략적 영향을 어떻게 진단할 수 있을까요? 피해 산업을 위한 단기, 중장기 대응 전략은 무엇이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중국이 한국산 페놀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5년 연장했다는 건 결국 중국 내 화학업체 보호가 우선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기업 입장에서는 이미 한 번 겪어온 규제라 새삼스럽지는 않지만 부담이 길어지는 게 문제입니다. 판매처가 막히면 수출량 줄고 단가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향 비중이 큰 업체는 타격이 크겠지만 이미 동남아나 인도 쪽으로 판로를 일부 돌린 기업도 있어서 체감 강도는 다를 겁니다. 단기적으로는 다른 지역 고객사 확보가 핵심이고 가격 경쟁 대신 고순도나 고부가 제품 개발로 버텨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중국 의존도를 구조적으로 줄이고 fta 활용 시장이나 북미 유럽 대체 수요를 키우는 쪽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와 동일한 수준이 유지되기에 큰 문제는 없으나 호조를 기대한 기업들에게는 아쉬운 소식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페놀수입의 덤핑 방지 관세에 대해서 재평가가 이뤄진다면 가는한 자료 소명을 통하여 다시 부과받는 관세는 낮은 관세를 적용받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중국이 한국산 페놀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5년 더 연장하기로 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중국 수출은 구조적으로 제약을 받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2019년 관세가 처음 부과된 이후 한국의 대중 페놀 수출액은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번 연장은 이러한 추세를 고착화시키는 효과를 낳습니다. 국내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은 그동안 페놀을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나 에폭시 원료로 많이 공급해왔지만, 관세 부담으로 가격 경쟁력이 사라지면서 이미 동남아시아, 인도, 호주 등으로 판로를 다변화해온 상황입니다. 앞으로도 중국 시장보다는 제3국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을 재편해야 하는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사실로 단순 기초소재를 중국에 대량 공급하던 시대는 사실상 막을 내렸고 범용 제품 위주의 경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압박으로 분석된다고 합니다.
현재 중국은 자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펴고 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은 페놀 같은 기초소재보다는 고부가가치 중간재나 스페셜티 화학제품, 그리고 친환경·저탄소 인증을 앞세운 제품으로 경쟁력을 옮겨가야 할것으로 보이며 중기적으로는 단순 페놀 판매보다는 이를 활용한 비스페놀A,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등 다운스트림 제품으로의 진출이 필수적이며, 일부 기업은 동남아나 인도에 현지 생산 거점을 마련해 관세 리스크를 분산할 필요가 대두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중국은 한국, 미국, 일본, EU, 태국 등으로부터 수입한 페놀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5년 연장했습니다.
한국 기업에 대한 반덤핑 관세율은 12.5%~23.7%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은 반덤핑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가격조정, 중국 외 타지역으로 수출 다변화 전략, 중국 내 생산 거점 확보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석유화학 업계가 현재 장기 침체 상태이므로 대응 방안 마련이 쉽지는 않아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