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

손을 비비면 손에 열이 생기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뭐라고 하나요?

추운 겨울날 우리는 손을 비비잖아요.

무의식적으로 손을 비비는데 이때 비비면 손에 열이 발생해서 조금이나마 차가운 손을 녹일 수 있는데 이것은 과학적으로 무슨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손을 비비면 손과 손의 마찰에 의해서 마찰력이 열 에너지로 전환됩니다.

    따라서 그냥 손과 손의 마찰로 열이 생성된 것이며 과학적으로 딱히 뭐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마찰열때문입니다.

    에너지 보존의 법칙입니다. 시스템이 가동되는 저항이 없다면 그것은 100%의 효율을 자랑하게 되지요.


    즉 연료가 필요없는 자동차나 발전소등등이 생길수있다는겁니다.


    그러나 공학적 최대효율은 40% 과학적 최대효율은 60% 정도라고 합니다.


    그럼 나머지 어디로 가겠습니까?


    이러한 나머지 에너지들이 대부분 열에너지로 변화하는겁니다


    기본적으로 마찰에 대한 것은 물질마다 차이가 있고 그래서 고유물성으로 마찰계수를 두기도합니다..


    공기의 저항도 기본적으로 마찰의 일종으로 볼수있고 도선의 저항도 크게는 마찰이라고 볼수있을거 같네요.


    변화에 저항하려는 힘이 있고 이힘을 이기기위해 에너지가 소모되고 소모된 에너지는 열에너지의 형태로 나타나고 이것을 마찰열이라고 보면 가장 쉬운 이해라고 생각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건 바로 마찰열이라고 부릅니다. 마찰열은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의 합)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손을 비비게 되면 과학적으로는 운동에너지가 생기게 되고 이는 열에너지로 변환이 되는겁니다. 즉 마찰에 의해서 마찰열이 발생하는거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