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셔>의 음운변동에서 반모음 첨가는 틀린가요?
학교 모범답안은 ㅣ로 끝나는 어간 가시- 뒤에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와서 어간의 ㅣ가 반모음 y로 교체된다. 인데 반모음을 하나의 음운으로 보는 견해를 적용하면 오히려 반모음 y가 첨가되어 ㅕ로 변동되는 것 아닌가요? 학설의 대립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음운 변동에서 반모음 첨가와 교체는 학설에 따라 해석이 다릅니다.
학교 모범답안처럼, 어간의 모음 `ㅣ`가 반모음 `y`로 교체된 후 어미 `-어`와 결합해 `ㅕ`로 변동된다고 봅니다. 이는 반모음을 독립된 음운으로 보지 않는 관점에서 설명됩니다.
그런데 반모음을 독립된 음운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어간 `가시-` 뒤에 반모음 `y`가 첨가되어 `ㅕ`로 변동된다고 해석합니다. 이 경우, 음운의 개수가 증가하는 첨가 현상으로 간주됩니다.
위 두 관점은 반모음을 음운으로 인정하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현재는 반모음을 음운으로 인정하는 견해가 우세하지만, 교과서나 학자에 따라 설명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학문적으로는 두 해석 모두 가능하며, 제시문에 따라 접근해야 할듯합니댜~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가다...라는 단어가 기본형입니다.
여기에 존칭의 변화가 생겨서 가시다...라는 형태로바뀌어집니다...
그리고 여기에 어미변화로 가시어..라는 단어가 마지막의 어에서 ㅇ 은 음가가 없으므로 모음들이 축야되어 ㅣ + ㅓ = ㅕ... 죽 가셔..로 최종적으로 바뀐 것입니다.
다른 가설이 있을수 있으나 이를 꼭 틀렸다 맞다로 인식하기보다는 말그대로 다른 가설의 하나로 이해하심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