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23.10.14

주식과 채권의 움직임이 같은 경우는 어떤 상황인가요?

일반적으로 주식과 채권의 움직임은 반비례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간혹 주식과 채권의 움직임이 같은 것을 보고 한 쪽이 거짓말하고 있다라고도 하는데, 움직임이 같은 경우는 어떠한 경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
    한울발달상담센터
    23.10.14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금리가 상당히 올라가는 시기에

    주식과 채권의 움직임이 비레할 수 있는 등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금리 방향성과 주식의 방향성은 반대의 움직임을 보이게 되는데, 채권 금리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주식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은 고금리 시장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침체되지 않고 더 소비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혹은 주식시장이 금리상승에 대한 것을 그리 크게 리스크로 보지 않는 경우에 상승하는 경우가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0.14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치는 하락합니다. 이는 채권 시장에서 수요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즉, 금리와 채권은 역의 관계를 가집니다

    금리가 오르면 주식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금리 상승이 경기 둔화를 야기하고, 기업의 이자 부담을 증가시키고, 투자자들이 예금이나 채권 등의 안전자산으로 자금을 옮기기 때문입니다. 즉, 금리와 주식은 역의 관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과 채권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은 채권과 주식은 음의 상관관계를 갖습니다.

    다만, 연방준비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는 주식과 채권이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채권은 반비례합니다


    주식. 위험자산

    채권. 안전자산


    그러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상승하면서, 생산비용 감소로 인한 재화 및 용역 가격이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일때 주식 및 채권이 동반 상승하게됩니다

    실례로, 1990년대 정보통신혁명 시기, 전세계 물가가 안정되어, 주식과 채권이 동반 상승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