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노란원앙276
노란원앙27623.05.04

미국 FOMC에서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니...

미국 FOMC에서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잖아요.

한국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해야 할까요. 아니면 따로 올리는 것이 한국에 도움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이 금리를 지속 인상하고 있으나,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의지가 강해서 그런 것이고, 우리나라의 경우 물가상승률보다도 경기침체를 경계하는 분위기가 큽니다. 향후 어떻게 될지 미리 예단할 수 없으나, 경제지표가 최악이 아니라면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결정에 대한 내용은 미국의 결정에 영향을 받을수밖에는 없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인상하는 결정은 굉장히 신중하고 아무래도 동결에 아직까지는 더 무게가 실려있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도 한번정도 금리를 더 올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외환보유액이 빠져나가는 것을 조금 더 지켜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번 미국의 0.25%bp 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차가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우리나라에 투자된 외국 자본 유출이 가속화 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이번 5월 말에 있을 한국 금통위에서 미국과 동일하게 베이비스텝 (0.25%bp)을 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가 미국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고 또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가계부채로 인해
    국민들의 생활이 더 팍팍해짐에도 불구하고 펼칠 수 있는 금리 정책이 많지 않기 때문에
    미국과 동조화 된 금리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게 된다면 미국의 금리가 인상되면서 우리나라와 기준금리 격차가 더 심화되는 경우에는 달러환율의 상승이 발생 할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실제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달러환율의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맞으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재의 한미간 기준금리 격차'가 아니라 '앞으로 예측하게 될 한미간의 기준금리 최대격차 예상치'가 달러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전일자에 미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기존의 1.5%에서 1.75%로 더욱 심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달러환율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던 것은 미국의 정점금리 수준이 5.25%일 가능성이 높아져 앞으로 한미간의 기준금리는 1.75%범위내에서 움직이며, 이 금리 격차는 좁혀질 가능성이 높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은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우리나라는 현재 국내의 부채리스크가 경제위기의 뇌관으로 자리잡고 있는 만큼 달러환율이 상승하지 않는 이상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이러한 달러환율의 상승이 발생하기 위한 조건값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다시금 빨라지거나 정점금리 수준이 높아지는 것인데, 이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은 부채리스크를 감안시 금리인상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100%에 가깝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