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 색깔이 파란색인 경우가 있던데 왜 빨간색이 아닌가요.?
제가 알고 있고 항상 보아왔던 불꽃색깔은 빨간색으로 알고 있는데 라이터의 불꽃 색깔에서 파란 색깔의 불꽃을 보았습니다.
라이터의 불꽃 색깔은 왜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의 온도 차이에 따라 불꽃의 색상이 차이가 납니다.
푸른색의 불일 경우 실제로 붉은색의 불 보다 온도가 높습니다.
또한 특정 화학물질에 의해서 다른 불꽃의 색을 구현할 수 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불꽃의 색깔은 불꽃의 온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파란색에 가까운 빛을 내고, 온도가 낮을수록 빨간색에 가까운 빛을 냅니다.
라이터의 불꽃은 휘발유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불꽃입니다. 휘발유의 연소 온도는 약 1,500~2,000℃입니다. 이 온도는 파란색 빛을 내는 온도이기 때문에, 라이터의 불꽃은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불꽃의 색은 일반적으로는 온도에 따라서 달라지고, 붉은 빛보다는 푸른 빛의 불꽃이 더 뜨겁습니다. 또한 특정한 금속물질과 반응해 색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불꽃의 색깔은 연소 과정과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불꽃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경우는 완전연소로 인한 것이며, 완전연소는 불꽃과 산소가 충분히 섞여 연료가 완벽하게 타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때 완전연소가 일어난 불꽃은 더 높은 온도의 푸른빛을 띕니다.
반면에, 산소가 충분히 연료와 섞이지 못하면 불완전연소가 일어나게 되는데, 나무나 종이 등을 태울 때 산소는 불꽃 바깥쪽에서만 불꽃과 섞이게 되고 안쪽은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불완전연소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럴 때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붉은색 불꽃이 생기게 됩니다.
라이터는 연료에 산소를 섞어 완전연소가 될 수 있게 만든 연료를 사용하고 있어 파란색 불꽃을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재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불꽃은 온도에 따라 색이 다릅니다
일반적인 붉은 색보다 푸른색 불꽃이 온도가
더 높습니다
파랗게 보이는 영역은 충분한 산소와 열로
완전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영역으로 온도는
1400도로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꽃의 색깔은 주로 그 안에 포함된 화학 물질에 의해 결정됩니다. 파란색 불꽃은 보통 존재하지 않는 원소인 인듐이나 인듐 화합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인듐은 높은 온도에서 파란색 빛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란색 불꽃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빨간색 불꽃은 주로 존재하는 원소 중 하나인 리튬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리튬은 높은 온도에서 빨간색 빛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리튬 화합물이나 리튬이 함유된 연소체를 사용하면 빨간색 불꽃이 형성됩니다.